-
장세진2022사이The term “Japanese wife” refers to Japanese women who married men from areas called “outside” such as Chosun, Manchuria, and Taiwan before the ...
-
김지영2022일본공간This paper examines the intersection of Science fiction(SF) imagination and Cold War (un)consciousness in the 1950s and 1960s, focusing on Saky...
-
장은영2020우리文學硏究한반도가 경험한 두 번의 전쟁, 식민지 말의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은 전쟁의 시기와 주체가 다르다는 점에서 단절되어 있다. 그러나 근대 국가의 권력이 최대로 응집되었던 두 번의 총력전은 당시 문화인들의 인식에서 나타나듯이 연속적 사건이었으며 전쟁에 대한 문학적 대응에 있어서도 연속성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두 시기에 대한 문학사적 단절을 넘어서서 한국 전쟁문학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
-
신욱희2020한국과 국제정치The trilateral relations among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show complex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
-
노춘기2019우리文學硏究이호우의 시조는 전통적 규범과 현대적 리얼리티의 갈등을 종합하여 새로운 시형식뿐만 아니라 그에 부합하는 가열한 시정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그 시정신의 요체가 정치성과 탈정치성을 통합하는 그 견인정신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비교하여 살피되, 이호우의 작품 세계에 일관되는 한 흐름으로써 정치적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호우의 현실 인식...
-
한모니까2018한국문화연구이 글은 북한의 인민 만들기를 감정 정치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연구이다. ‘신해방지구’에서 발행된 조선노동당기관지 『개성신문』에 등장하는 감정 언어들과 서사를 분석하여, 북한 사람들의 공적 감정들의 특징을 다룬다. 북한은 단순히 사람을 통제한 것이 아닌 사람의 감정을 통제했다. 미국에 대해서는 공포가 아닌 적개심, 이승만 정권기의 경험은 수치와 실망, 북한 인민으로의 편입에 대해서는 행복과 명예감 ...
-
최소령2017大東文化硏究한국전쟁 발발 이후, 중국은 자발적으로 북한에 원조를 제공하였는데, 중소 양국의 지원물자는 주로 중국 동북을 통해 북한으로 운송되었다. 중국지원군이 전쟁에 투입되자, 북한의 철도운송노선을 복구하여 군수물자 조달을 보장하는 것이 시급해졌다. 1950년 11월, 중국은 철도인원을 북한에 투입하기 시작했고 중국 철도부대의 대량 유입은 북한 철도운수를 둘러 싼 북중 간 갈등을 빚어내기도 하였다. 이후 소...
-
Yonez, Tokuya2016본 논문은 일본인 종군기자의 한국전쟁 파견 경위와 취재활동을, 주로 『아사히』와 『마이니치』 신문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전쟁과 한국에 대한 당시 일본인의 인식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모습까지 고찰했다. 1945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에 패배한 일본을 점령한 연합국(미군)은 일본의 탈군국주의화・민주화라는 명분 아래 보도지침을 발표하여 일본 언론의 관리와 통제에 나섰다. 그런데 동아...
-
임유경2015현대문학의 연구이 글은 해방 이후 한반도의 두 체제가 자기의 국가적 경계를 형성하는 데 ‘일본’과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매개하고 있었는지를 ‘재일조선인간첩사건’을 통해 추적해보고자 한다. 이는 두 체제의 적대적 공조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간첩’으로 정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면서, 남한정부가 탈식민과 냉전의 시간을 전유해가던 역사의 길목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던 일본과 북한이라는 내밀한 ‘자기-...
-
김인수2014한국전쟁 반세기 후 정부는 6·25전쟁 발발 50주년 사업으로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시작했고 '07년 1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되어 약 8천여구의 유해를 발굴하는 실적을 보였다. 이후 사업은 국민의 관심과 조명을 받기 시작했으며 법률제정, 범정부차원 협력체계 구축 등 중요한 국가 영구사업이 되었다. 하지만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그동안 많은 발굴을 했으나 여전히 13만여 구의 유해는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