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종호2022한일관계사연구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 to study the background and appearance of the surrender of Nakaon(羅可溫)’s Waegu (or Wakou or Japanese marauders...
-
양흥숙2016한일관계사연구임진왜란 중에 많게는 1만 명의 일본군이 降倭의 길을 택하였다. 참전병으로서 가족 없이 조선에 왔기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는 순간 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형성해 온 관계들이 단절된 사람들이었다. 조선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를 처음부터 만들어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었고 일본으로는 돌아가기 어려운 사람들이었다. 항왜는 외모적으로 조선인과 비슷하지만, 언어, 문화가 다른 외국인이고 더욱이 조...
-
박경하2015다문화콘텐츠연구金忠善(沙也可)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선봉장으로 참전하였으나 곧 투항하여 일본군을 상대로 여러 차례 큰 공을 세워 선조로부터 김해 김씨 성과 충선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자헌대부에 올랐다. 가훈?향약 등을 마련하여 향리교화에 힘썼으며, 『모하당문집』을 남겼다. 조선에 투항한 金忠善(沙也可)은 조선의 입장에서는 충신이자 영웅이었지만 일본의 입장에서는 배...
-
경혜영2013이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사에 관한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나타난 조선의 향화인을 통해 다문화정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향화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조선시대 중기 향화인에 대한 정책의 내용과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화인들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이 이룬 다문화 가정교육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 역사의 정책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
김문자2005한일관계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