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암집 목록
魯庵集
노암집
-
-
|
|
金宗一
김종일
|
|
1850 | |
|
해제 및 일러두기
조선 시대 노암(魯庵) 김종일(金宗一, 1597~1675)의 문집이다. 본집은 6대손 희영(煕永)이 여러 문집과 정원일기 등에서 저자의 시문을 집일하고, 연보 등 부록을 합편하여 1850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권수에 1848년 정홍경(鄭鴻慶)이 쓴 서문과 목록, 연보가 있다. 권1은 시이다. 대부분 만시로 장현광(張顯光), 신지제(申之悌) 등에 대한 것이다. 권2는 소(疏), 계(啓), 서(書), 제문, 갈명, 묘지명, 행장이다. 그중에서 〈논강도실수소(論江都失守疏)〉는 1637년 병자호란 때 윤방(尹昉), 김자점(金自點) 등이 종묘사직을 지키지 못한 것을 논죄하여 올린 것이다. 권3은 책(策), 잡저이다. 잡저의 〈심양일승(瀋陽日乘)〉은 1637년 7월 19일부터 1639년 4월 15일까지 시강원 사서가 되어 청(淸)나라에 볼모로 가는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에 들어가 일어났던 일들과 본국으로 송환되어 영덕으로 유배가기까지의 일들을 기록한 것이다. 권4는 부록이고 권말에는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발, 이종상(李鍾祥)이 지은 후지, 김희영이 1849년에 지은 후지, 강시영(姜時永)이 1850년에 지은 발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魯庵 金宗一(1597:宣祖30 ~ 1675:肅宗1)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6代孫 煕永이 여러 文集과 政院日記 등에서 著者의 詩文을 輯佚하고, 年譜 등 附錄을 合編하여 1850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4卷 2冊으로 總 142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811.98/김종일/노-판)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3×17.9(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 저자 | 간행년도 | 저작시대 | DB |
---|---|---|---|---|
노암문집(魯庵文集) | 김종일(金宗一) | 1850 | 조선시대 후기 | 한국역대문집DB |
병와집(甁窩集) | 이형상(李衡祥) | 1774 | 조선시대 후기 | 한국문집총간DB |
금강집(錦江集) | 장신(張璶) | 1772 | 조선시대 후기 | 한국문집총간DB |
백주집(白洲集) | 이명한(李明漢) | 1646 | 조선시대 중기 | 한국문집총간DB |
고송집(孤松集) | 신홍망(申弘望) | 1739 | 조선시대 후기 | 한국문집총간DB |
정재집(定齋集) | 유치명(柳致明) | 1883 | 조선시대 후기 | 한국문집총간DB |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