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齊賢, 1698, 益齋亂藁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彰路 등이 수집ㆍ편차하여 初刊한 뒤 世宗의 명에 따라 重刊하고, 이후 후손의 교정ㆍ증보를 거쳐 1698년에 간행된 것이다. 원집에는 후손 黿의 문집이 附集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제외하였다. 저자의 시문 중에는 고려 민간 가요를 漢譯한 小樂府(11章)가 실려 있다.

  • 崔瀣, 1354, 拙藁千百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은 고려 명현의 시문을 뽑아 「東人之文」25권을 편수하였다. 저본은 저자의 自編稿를 바탕으로 하여 1354년 郭忠守 등이 간행한 본의 補刻後刷本이다. 序ㆍ記ㆍ墓誌 등 저자의 文만 실려 있다.

  • 閔思平, 1370, 及菴詩集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본은 外孫 金九容이 수집ㆍ편차한 것을 1370년 門徒 李頤가 간행한 초간본이다.序文 첫부분이 刓缺되어 있다. 시문중에는 구전민요를 漢譯한 小樂府(6章)가 실려 있다.

  • 李穀, 1662, 稼亭集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穡이 편차하고 女婿 朴尙衷이 초간한 뒤 몇차례 간행된 것을 바탕으로 1658년 후손 泰淵이 간행한 것이다. 저자의 시문은 文의 비중이 크고, 부록으로 稼亭雜錄이 첨부되어 있다.

  • 鄭誧, 1609, 雪谷集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樞가 수집ㆍ편차하여 초간한 뒤, 후손 逑가 1609년 저자 子孫의 시문을 모아 합편ㆍ간행한「西原世稿」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 李達衷, 1836, 霽亭集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孫子 寧商이 간행한 초간본이 일실된 후, 1836년 후손 德培 등이 東文選 등에서 집일ㆍ편차하여 간행한 것이다.작품마다 출전이 기록되어 있다.

  • 白文寶, 1900, 淡庵逸集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1900년경 후손들이 여러 전적에서 집일ㆍ편차하여 간행한 초간본이다.

  • 李集, 1686, 遁村雜詠
    고려
    한국문집총간 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之直이 초간한 뒤 여러 차례 간행을 거쳐, 1686년 후손 厚遠 등이 새로 편차하고 附錄을 붙여 간행한 木板本에, 후손 鎭翰 등이 補編을 活字로 印行하여 추가한 것이다. 보편에는 行錄 등 부록문자가 실려 있다.

  • 田祿生, 1738, 壄隱逸稿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1738년 후손 萬英이 집일ㆍ편차하여 간행한 초간본인데, 여기에서 附集된 弟ㆍ孫의 문집은 제외하였다. 부록 가운데 尊慕錄에는 저자 동료들의 略傳이 기술되어 있다.

  • 李穡, 1626, 牧隱藁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3~5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種善이 초간한 뒤 1484년경 詩精選 12卷이 간행되고, 1583년 文藁 18卷이 간행되었는데, 이를 수습하여 1626년 후손 德洙가 간행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