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조에서 경상우도의 염창을 옳기는 일에 대해 보고하다.
공조에서 아뢰기를,
“이번에 경상우도(慶尙右道)의 염창(鹽倉)을 옮겨서 배치하는 것이 좋은가 아닌가를 현지에 찾아가서 물어 보았더니, 곤남군(昆南郡) 사람들은 성내에 두고 태장관(汰場官)에 합속시켜서 양쪽을 겸임하게 하기를 바라고, 염...
-
경상우도와 전라좌도의 각 포의 요역을 면제하여 왜구의 방어에 전념하게 할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우도와 전라좌도는 왜구의 초입지로서 그 방어가 가장 긴요한 지역이온데, 근년 이래 승평한 날이 오랫동안 계속되어 변경에서의 경보가 없었고, 각 포(浦)의 요역이 몹시 번다하여, 선박을 수비하는 사람만을 배정하여...
-
우정언 정차공이 강상죄와 관련된 유은지의 복권과 처치사로 임명된 윤중부의 인사가 부당함을 아뢰다.
우정언(右正言) 정차공(鄭次恭)이 아뢰기를,
“…… 윤중부(尹重富)는 불학무술하고 사어도 능하지 못하옵니다. 경상우도는 왜인이 끊이지 아니하고 왕래하는 요해의 진이온데, 이 사람으로 하여금 방어하게 하였다가, 만일 변고(變故)라도 있으면 후회해도 미...
-
경연을 마치고 시독관 강겸 등과 별자리의 변화에 대하여 의논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동지사 이세좌(李世佐)가 아뢰기를,
“지금 들으니, 남방에 왜변이 있다고 하는데, 경차관을 보내어 같은 날 거사하여 기어이 잡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다만 왜적은 반드시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으니, 만약 조...
-
순변사 이계동이 복명하고 왜적에 대한 방비책을 아뢰다.
순변사(巡邊使) 이계동(李季仝)이 복명하고, 이어서 아뢰기를,
“전라우도 수영은 적이 쳐들어오는 첫 길로서 방어가 가장 긴요한데, 좌·우도의 수군이 총합 1,100명이요, 그중에서도 활을 가진 자는 겨우 40여 인이니, 왜적을 잡으려 한들 되겠습니까...
-
전라도 병마절도사 한충인 등이 왜선이 마도에 돌입하여 전투한 일을 아뢰다.
전라도 병마절도사 한충인(韓忠仁)과 관찰사 정숙지(鄭叔墀)가 치계하기를,
“왜선 11척이 마도(馬島)에 돌입하여 하륙해서 서로 싸웠는데, 만호 및 군관 1명이 화살에 맞았습니다.”
하였는데, ‘정승 등과 의논하라.’ 고 명하였다. 병조판서 이...
-
전라도 절도사 한충인이 왜군을 놓친 잘못을 중한 법으로 다스릴 것을 정원에 묻다.
전라도절도사 한충인(韓忠仁)이 치계하기를,
“이달 22일 왜가 마도(馬島)에서 도둑질하므로 만호가 군사를 거느리고 성 밖으로 나가 싸웠는데 만호 및 군관 4인이 화살에 맞았습니다. 만호가 말하기를, ‘저들은 많고 우리는 적으니 이기지 못할 것이 분명...
-
왜적이 작란하니 도주에게 문책 경고를 하는 일을 의논하게 하다.
예조판서 이세좌(李世佐)·참의 이창신(李昌臣)이 서계하기를,
“전년에 대마도주(對馬島主)가 변장에게 글을 보내어 말하기를, ‘근래에 소이전(少二殿)과 대내전(大內殿)이 싸움을 그치지 않고, 그 남은 무리들이 귀국 연해변을 침범할까 두려우므로 사신을 ...
-
어사에게 적발된 경상좌 ․ 우도의 병사와 수사의 처벌을 논하다.
정원에 전교하기를,
“경상좌도와 우도의 병사·수사 4원【좌병사 윤선지(尹先智)와 수사 이귀침(李龜琛)은 전임 가덕첨사(加德僉使) 때이고, 우병사 김순(金洵)은 전임 부산첨사(釜山僉使) 때이고, 수사 박해(朴海)는 전임 동래부사(...
-
정원이 적의 해로를 차단할 방책을 아뢰다.
정원이 아뢰기를,
“흉적이 팔도에 가득 차 있는데도 아직까지 섬멸할 기약이 없이 이제 해가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만약 명년 봄에 적추(賊酋) 풍신수길(豊臣秀吉)이 있는 군사를 다 데리고 건너오면 형세가 더는 지탱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