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리 접반사 이덕형이 안찰 소응궁의 강화 협박 사실을 보고하다.
경리 접반사 이덕형(李德馨)이 치계하였다.
“소안찰(蕭按察)이 신을 불러 조그마한 종이 쪽지를 꺼내 주었는데, 대개 우리나라로 하여금 강화하도록 위협하는 것이었습니다. 심지어는 ‘당신 나라는 사세를 헤아려 보지도 않고 다만 중국 병사가 와서 싸워주기...
-
상이 유격 모국기의 객관에 거둥하여 접견하다.
상이 모유격(茅遊擊)의【유격의 이름은 모국기(茅國器)이다.】객관에 거둥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군사와 군량을 재차 보내 시종 구제해 주니 황은이 망극하오. 대인이 우리나라의 일로 만 리를 달려와 이처럼 수고하시니 참으로 미안스럽소이다.” ...
-
중국군 장수들이 사로잡은 왜적을 활쏘기의 표적으로 삼아 죽이다.
접대도감이 아뢰기를,
“오늘 경리가 교장에 나와서 모유격(茅遊擊)의 군사로 하여금 진법을 익히게 하고 교전도 시험했습니다. 이어 모유격 이상의 장관들과 자리를 같이 하여 술을 마시고 표적에 활을 쏘게 한 다음 영국윤(寗國胤)이 ...
-
이원익이 모국기와 논의한 천병이 도착한 다음의 전술에 대해 아뢰다.
우의정 이원익(李元翼)이 아뢰기를,
“오늘 군문에게 일을 품할 적에 군문이 신에게 눈짓을 하며 은밀히 말하기를 ‘모국기(茅國器)에게【유격(遊擊).】분부한 일이 있었는데, 모르겠소만 의정께서는 이미 아뢰어 시행하였는가?’ 하기에, 답하기를 ‘이미 노야...
-
이원익이 모유격과 논의한 가등청정을 잡는 문제를 보고하다.
우의정 이원익(李元翼)이 아뢰기를,
“모유격(茅遊擊)이 신을 불러 좌우를 물리치고 혹은 글씨를 써서 보이기도 하고 낮은 어조로 말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내가 군문을 만났는데 군문이 밀어로 나에게 교시하기를 「의정과 서로 비밀히 한 말을 아뢰어...
-
마제독이 군량 때문에 전주와 예천에 군사를 보내어 먹으며 방수케 하다.
마제독(麻提督)이 서울에 군량이 없다는 이유로 유격 모국기(茅國器)를 전주(全州)에, 파귀(頗貴)를 예천(醴泉)에 나누어 보내어 각각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먹으면서 방수하게 하였다.
-
양경리가 이남으로 군사를 보내고 올린 자문.
양경리(楊経理)가 이남으로 군사를 나누어 보내고 이자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또 압록강 이서를 나누어 주제독(周提督)에게 맡기고 전라도와 서해 이남을 진총병(陳總兵)에게 맡기되 동서의 수병이 서로 기다리고 있지 말고 성세를 연락하여 기각...
-
지휘 황응양과 시어소에서 중국군의 동태와 군사 작전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다.
지휘 황응양(黃應陽)이 시어소에서 배알할 것을 청하여 상이 나와 맞아들여 전상에 오른 후 읍을 교환하고 자리에 앉았다. 지휘가 말하기를,
“양노야(楊老爺)가 친히 뵈올 수 없어 감히 저를 보냈습니다.”
하고, 뒤이어 서찰 1통을 꺼내 올리며 ...
-
군량 수송, 중국군의 동태, 이여송 조제 문제, 도산의 적정 등을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대신과 비변사가 당상을 인견하였다.【입시한 사람은 영의정 유성룡(柳成龍), 지중추부사 정탁(鄭琢), 좌의정 이원익(李元翼), 우의정 이덕형(李德馨), 대사헌 이헌국(李憲國), 호조판서 김수(金睟), 이조판서 홍진(洪進), 예조판서 심희수...
-
경리도감이 진주성 근처의 농작물을 확보하기 위한 계책을 아뢰다.
경리도감이 아뢰기를,
“어제 아침 일찍이 신이 정기룡(鄭起龍)에게 은밀히 유고한 사연으로 품첩을 만들어 올렸는데, 경리가 즉시 모유격(茅遊擊)에게 비답하여 보냈습니다. 이것은 군사기밀에 관계되는 일이기에 그 품첩을 감히 아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