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
-
영평 함정현사장에 이르러 왕방산에서 사냥을 해야 할 지의 여부를 묻다.
대가가 영평(永平) 함정현(檻穽峴) 사장(射場)에 이르렀다. ……
홍응(洪應)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남쪽 지방에 갔다가 변방 사정을 같추 살펴보았는데 수영에 방비만 갖춘다면 길이 염려할 것이 없었습니다.”
...
-
양사가 병조 낭관을 파견하여 도순검사 이하의 군대를 독려하자고 청하다.
양사가 합계하기를,
“적병이 이미 임진강까지 닿게 되었고 또 양주에도 나타났다고 하니 양주에서 영평(永平) · 마전(痲田) 등처로 길을 잡아 곧장 평양으로 향한다면 매우 편하고 가까울 뿐더러 나루터 등의 막힌 곳도 없어서 그 속...
-
사은사의 사행 때 송응창 등에게도 자문을 보내는 일에 대해 비변사에게 의논하도록 하다.
전교하였다.
“이번에 가는 사은사의 사행은 요동순안(遼東巡按) 주유한(周維翰)과 광녕순안(廣寧巡按) 한취선(韓取善)에게 다급함을 고하고 적정을 상세히 진고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송응창(宋應昌)·이여송(李如松)이 다행히 영평...
-
병조판서 이덕형이 중국군의 동태와 김덕령에게 일면의 방어를 맡길 것 등을 아뢰다.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이 아뢰기를,
“신이 어제 저녁에 소응충(邵應忠)을 만나보고 ‘오(吳)·낙(駱) 두 장수가 무슨 이유로 돌아갔으며 유총야(劉總爺)가 돌아가도록 허락한 것인가?’ 고 물었더니【오유충(吳惟忠)·낙상지(駱尙志)이고 유총야는 유정(劉...
-
대사헌 김찬이 파직시켜 줄 것을 청했으나 사퇴하지 말라고 답하다.
대사헌 김찬(金瓚)이 아뢰기를,
“신은 본래 자질이 용렬한데다가 학문의 공효마저 없었는데 요행히 과거에 올라 성명의 총애를 받은 탓으로 청반을 두루 지내고 재상의 반열에 외람되이 올랐습니다. 그러나 한갓 자리만 차지하고 녹만 받아먹는다는 비방만 쌓일...
-
통판 도양성과 군량미의 운송 및 수급 대책을 논의하다.
도통판(陶統判)이【도양성(陶良性).】회례차 왔다. 통판이 아뢰기를,
“군문께서 대병이 남하하였는데 양초가 넉넉하지 못하여 돌아오게 된다면 다시는 어떻게 할 도리가 없으니 속히 대관을 보내어 독촉하라고 하였습니다.”
하니,...
-
중국 황제가 행인사 행인 설번을 파견하여 조칙을 내리고 위로하다.
중국 황제가 행인사(行人司) 행인 설번(薛藩)을 파견하여 조칙을 내리고 위로하며 유시하기를,
“그대 나라는 대대로 동번을 지키며 평소 공손히 순종하였고, 의관문물이 성해 낙토라고 불리워졌다. 그런데 요즈음 듣건대 왜노가 창궐하여 대거 침입해서 왕성을...
-
전 의정 심수경이 아산에서 의병을 일으켜 건의대장이라 하다.
전 의정 심수경(沈守慶)이 아산(牙山)에 있으면서 의병을 일으켜 건의대장(建議大將)이라 하였다. 심수경은 나이가 많아 호종하지 못하고 호서의 내포(內浦)로 피난하였다. 고향 사람들이 군사를 모은 뒤 장수가 되어주기를 요청하니, 심수경은 자신이 대신의 신분으...
-
최유가 황제에게 본국에 돌아갈 것을 꾀하다.
이공수(李公遂)·홍순(洪淳)·허강(許綱)이 원나라에 있으면서 판서 이자송(李子松), 판사 김유(金庾)·황대두(黃大豆), 부령 장자온(張子溫), 북부령(北部令) 임박(林樸) 등과 함께 서신을 만들어 대지팡이 구멍에 넣어 정량(鄭良)·송원(宋元)을 샛길로 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