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원에서 중국 장수가 석상서 등이 유총병에게 보내는 서신을 가지고 영남으로 간다고 보고하다.
정원이 아뢰기를,
“통사 송업남(宋業男)이 중국 장수 웅수비(熊守備)가【이름은 웅정동(熊正東)임】신임하는 사람에게 탐문한 바에 의하면, 웅이 바로 장각로(張閣老)의 매부이고, 지금 영남을 향하여 가는데 장각로·석상서(石尙書)·경...
-
호환을 직접 전송하고자 하였으나 비변사에서 반대하다.
정원에 전교하기를,
“듣건대, 호환(胡煥)은 바로 유총병(劉總兵)의 스승이라고 하니 후하게 접대하지 아니할 수 없다. 더구나 천하 사람이 모두 화친을 주장하는 판에 오직 유공(劉公)과 호생(胡生)이 화친을 배척했으니 내가 마음으...
-
비변사가 웅도사의 이자와 소첩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신들이 삼가 웅도사(熊都司)의【이름은 정동(正東)이며 심유격(沈遊擊)을 따라 왜적의 진영에 들어가 있다.】이자와 소첩을 보니, 왜적에게 사로잡힌 남녀의 이름을 책으로 만들었습니다. 명나라의 장수로서 우리나라...
-
중국 사신에게 책봉를 다시 주청하고 적중의 사정을 알아보기 위해 자문을 보내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동궁 책봉에 관한 일은 온 나라 신민이 황상의 명이 내려지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데, 이번에도 소청을 얻지 못하였으니 그 실망이 어찌 끝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중국 조정의 뜻에는 다른 이유가 없고 다만 칙...
-
세자 책봉을 빨리 준허해 줄 것을 웅도사에게 전하도록 하다.
비망기로 정원에 전교하였다.
“‘세자는 나라의 큰 근본이므로 하루라도 자리를 비워둘 수 없는데, 하물며 위란한 때에 더욱 일찍 인심을 연계시키지 않을 수 없는 데이겠는가. 우리나라가 세자의 책봉을 두 차례나 주청하였으나 준허를 ...
-
상이 별전에서 웅도사를 접견하다.
상이 별전에서 웅도사(熊都司)【정동(正東).】를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황은이 망극하오이다. 대인이 왜영을 오가면서 근고 또한 많았소이다만, 우리나라의 지방이 잔파되어 접대에 관한 일이 그로 인해 태만하게 되었으니 극히 황송하오이다.” ...
-
접반사 김수가 중국 사신에게 청정이 떠나가고 노야가 바다를 건넌 뒤에 사은하겠다고 하다.
접반사 김수(金睟)가 치계하였다.
“본월 19일에 중국 사신이 해인사에 당도하였는데 이원익(李元翼)도 가서 문후하였습니다. 신이 사은하는 것의 합당 여부에 대해 비변사에서 말한 두 조목의 의사로써 이원익과 같은 사연으로 품고하였더니, 처음에는 ‘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