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군 이예와 호군 김구경을 보내어 일본에 회빙하다.
상호군 이예(李藝)와 호군 김구경(金久冏)을 보내어 일본에 회빙하였다. 일본국왕에게 답하는 서신에 말하기를,
“우리 두 나라는 대대로 인국의 호의를 닦아 항상 신의를 돈독히 했는데, 지금 또 전사(專使)로 보빙하니 매우 기쁘고 위로되오. 선사한 예물...
-
일기주태수 원의가 요구한 도서를 주조하여 주도록 허락하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원의(源義)가 도서(圖書)를 받고자 하니, 청컨대 주조하여 주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일본국 상송포 호자 일기수 원고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상송포(上松浦) 호자(呼子) 일기수(一岐守) 원고(源高)와 상송포(上松浦) 염진(鹽津)에 유(留)하는 이세수(伊勢守) 원문(源聞)과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원의(源義) 등이 사람을 보내 와 토물을 바쳤다.
-
일본국 일기주태수 원의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원의(源義)와 일기주지주(一岐州知主) 지좌(志佐) 원의(源義)·상송포(上松浦) 염진(鹽津)에 유(留)하는 이세수(伊勢守) 원문(源聞) 등이 사람을 보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대마주태수 종성직에게 빈번한 사자 파견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다.
예조참의 홍윤성(洪允成)이 교지를 받들어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성직(宗盛職)에게 치서하기를,
“귀도는 우리나라의 문호이며, 여러 섬에서 왕래하는 관문으로서 여러 섬의 사객선이 반드시 귀도의 문인을 얻은 연후에야 비로소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
-
첨지중추원사 송처검 등을 일본국의 통신사로 삼고 서계를 보내다.
첨지중추원사 송처검(宋處儉)을 일본국의 통신사로 삼고, 행호군 이종실(李從實)을 부사로 삼고, 종부시주부 이근(李覲)을 서장관으로 삼아 예물을 가지고 수미(秀彌)와 더불어 〈일본국에〉 함께 가도록 하였다. 또 명주 300필, 백금 500냥을 가지고 가서 우...
-
일본국 비전주 송포 일기주태수 지좌원의가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의 비전주(肥前州) 송포(松浦)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지좌(志佐) 원의(源義)가 사람을 보내 와서 토물을 바치었고, 왜호군(倭護軍) 평무특(平茂特) 등도 또한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일본국 비전주 ․ 대마주 등지에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지좌(志佐) 원차랑(源次郞),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원의(源義), 대마주(對馬州) 평조신(平朝臣) 종언칠정국(宗彦七貞國), 평조신 종언구랑정수(宗彦九郞貞秀), 평조신 종언팔랑무세(宗彦八郞茂世)가 각각 사람을 보내 와...
-
일본국 대마주 태수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성직(宗成職)과 인군(仁郡) 종신농수평조신성가(宗信濃守平朝臣盛家)와 관처진수(關處鎭守) 진성행(秦盛幸)과 서해로(西海路) 축전주(筑前州) 종상군씨경(宗像郡氏卿)과 비전주(肥前州) 우진(寓鎭) 탄정소필홍(彈正少弼弘)과 비전주(...
-
일본국 일기주태수 원의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비전주(肥前州) 송포(松浦) 지좌(志佐) 일기주태수(一岐州太守) 원의(源義)와 대마주(對馬州) 관처진수(關處鎭守) 진성행(秦盛幸)이 각기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