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사신의 접대를 위해 직제학 최항을 선위사로 삼다.
예조에 전지하기를,
“지금 오는 일본국(日本國) 사신은 다른 섬의 왜인(倭人)과 비교가 되지 않는데, 명나라 사신 때문에 중로에서 지체하여 머물게 하는 것이 예절에 어떠한가. 중국에서 이미 우리나라가 일본과 서로 통내(通來)하는...
-
정인지가 일본에는 진화를 격지않은 상서가 있다고 아뢰다.
진둔(陳鈍)·이관(李寬)이 성균관에 나아가서 문묘(文廟)에 들어가 뜰아래에서 재배하고, 대성전(大成殿) 안에 들어가 두루 보고 나와서 동무(東廡)에 들어가 서립(序立)하여 읍을 행하고, 서무(西廡)에 들어가서 또한 그와 같이 하였다. 처음에 이용(李瑢)이 ...
-
성균관에 거둥하여 시학하고 내린 책제를 내리다.
성균관에 거둥하여 시학(視學)하고 책제하기를,
“내가 엷은 덕으로써 왕위를 이어받아 숙야로 다스림을 생각하고 오직 이적(夷狄)을 대우하고 백성의 먹을 것을 넉넉히 하는 도리만을 궁구하였으되, 아직도 얻지 못하였다. 바야흐로 우리...
-
대마도 경차관 이계손이 하직하다.
교태전(交泰殿)에 나아가 내종친(內宗親) 및 좌의정 신숙주(申叔舟)·남양부원군 홍달손(洪達孫)·우찬성 구치관(具致寬)·형조판서 박원형(朴元亨)·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이조판서 최항(崔恒)·호조참판 이극감(李克堪)·문성군(文城君) 유수(柳洙)·행호군(行護...
-
경차관 이계손이 대마주에 가지고 갈 사목과 그 내용.
좌의정 신숙주(申叔舟)·이조판서 최항(崔恒)에게 명하여,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성직(宗成職)에게 내려 줄 교서를 초하여 아뢰게 하였다. 그 교서에 이르기를,
“경의 조부가 대대로 남쪽 변방을 지켜서 나라의 번병이 되었는데, 지금 경이 능히 선조의...
-
근정전에서 음복연을 베풀고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새벽에 임금이 경복궁(景福宮)에 거둥하여 대가의장(大駕儀仗)을 갖추고,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음복연(飮福宴)을 베풀고, 유구국 사신을 인견하였다. 시연관(侍宴官)이 동서의 뜰에 나누어 서는데 자리를 달리하여 겹줄로 하였다. 통사가 유구국의 사신을 인도...
-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경복궁(景福宮)에 거둥하여 서현정(序賢亭)에 나아가서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였는데, 임영대군 이구(李璆)·영응대군 이염(李琰)·하동부원군 정인지(鄭麟趾)·영의정 정창손(鄭昌孫)·좌의정 신숙주(申叔舟)·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영순군 이부(李溥)·판중추원사...
-
제주경차관 권윤이 포획한 왜인들을 후하게 하여 돌려보냈음을 아뢰다.
제주경차관(濟州敬差官) 권윤(權綸)이 아뢰기를,
“일찍이 서장(書狀)을 받들어 제주에서 포획한 왜인을 후하게 대접하여 위로해서 보내고, 아울러 바다를 건너갈 양식을 주었습니다. 신이 친히 만나보고 후하게 대접하고, 48인에게 바다를 건너갈 양식을 3...
-
김숙이 아산군은 왜선이 왕래하는 관문이므로 수령을 두어야 한다고 말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니, 봉원부원군 정창손(鄭昌孫)·영중추원사 심회(沈澮)·청성위 심안의(沈安義)·좌참찬 최항(崔恒)·호조판서 김국광(金國光)·동지중추원사 양성지(梁誠之), 행상호군 이윤손(李允孫)·임원준(任元濬), 예조참판 김...
-
진성행이 중국과 교통하기 위해 기를 빌려 줄 것을 청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진성행(秦盛幸)이 말하기를, ‘본도에서부터 중국 방면까지 거리는 순풍일 때에는 주야로 7일 노정인데, 지금 사선을 통행시켜 왕래하면서 장사를 하고자 하나, 다만 적왜들이 일찍이 상국의 국경을 침범하였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