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참의 윤수가 대마주태수 종정성에게 회례사의 배를 분발하여 호송할 것을 치서하다.
예조참의 윤수(尹粹)가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성(宗貞盛)에게 치서하기를,
“이제 듣건대, ‘회례사(回禮使) 이예(李藝) 등이 돌아오는 배가 바다에서 도둑에게 약탈을 당하여, 가진 물건을 모두 빼앗기고 겨우 목숨만 보전하여 적간관(赤間關)에 머물...
-
제주관선을 침범한 일기주의 두가마두를 조사하기 위해 일기주 상만호 도구라를 불러들이다.
경상도처치사(慶尙道處置使) 정간(丁艮)이 치계하기를,
“일기주상만호(一岐州上萬戶) 도구라(都仇羅)가 말하기를, ‘이제 본도에서 온 사람에게 들었사온데, 「전날에 중국에 침범하다가 돌아올 때, 제주관선(濟州官船)을 만나 사람을 죽이고 노략질한 자는 바...
-
피상의가 도구라를 데리고 오다.
피상의(皮尙宜)가 도구라(都仇羅)를 데리고 왔다.
-
예조참판 허후에게 생포한 왜인을 돌려보내고 잡혀간 본국 사람을 돌려받는 문제를 의논하게 하다.
예조참판 허후(許詡) 를 불러 이르기를,
“근래 왜놈에게 포로되어 간 인물들이 확실하게 어느 섬에 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다만 대마도(對馬島)에 물었었는데, 지금 피상의(皮尙宜)가 와서 아뢰기를, ‘대마도와 일기도 사람이 공모하고 노략질하였다.’...
-
하직하는 등구랑에게 물건을 하사하다.
등구랑(藤九郞)이 하직하니 의복 등의 물건을 하사하고, 통사(通事) 피상의(皮尙宜)를 보내어 등구랑과 함께 일기주(一岐州)에 가게 하였다.
-
초무관 강권선이 대마도 ․ 일기도 ․ 상송포 등지의 사람을 후하게 대하여 순종하고 복종하게 할 것을 아뢰다.
초무관(招撫官) 강권선(康勸善)이 일기도(一岐島)에서 돌아와 아뢰기를,
“신이 여러 섬의 왜인이 도둑질하는 상황을 살펴보오니, 박다(博多)로부터 대내전(大內殿)에 이르기까지는 왜인들의 사는 곳이 조밀하고 토지도 비옥하여 오로지 농업에 힘쓰고 흥판(興...
-
섬사람들이 중원을 침략할 것이라 한 표사온의 말을 중국에 주달할 것인지를 논의하게 하다.
임금이 예조 판서 김종서에게 이르기를,
“표사온(表思溫)의 일은 대신들이 모두 헌의하기를, ‘아직 죄주지 말고 범죄하기를 기다려서 뒤에 치죄하라.’고 하니, 내가 그 의논을 따르겠으나, 대신들의 뜻을 알 수 없다. 내 뜻에 생각되기는 마땅히 의를 들...
-
사역원판관을 일기도에 보내 풍랑으로 표류된 사람을 쇄환하게 하다.
사역원판관(司譯院判官) 피상의(皮尙宜)를 일기도(一岐島)에 보내어 풍랑으로 표류된 사람을 쇄환하게 하였다.
-
사역원판관 피상의가 일기도에 표류한 제주 사람 막금을 데리고 오다.
사역원판관(司譯院判官) 피상의(皮尙宜)가 일기도(一岐島)에서 돌아왔다. 상의가 대마도에 이르러 종정성(宗貞盛)을 보고 예물을 주고서, 인하여 말하기를,
“들으니, 우리나라 사람이 표류하여 오도(五島) 등처에 이르렀다 하기에, 찾아 돌아가려고 왔다.”...
-
맹경으로 하여금 일본 사신 정우에게 국가의 뜻을 전하게 하다.
의정부와 예조가 함께 의논하여 아뢰기를,
“피상의(皮尙宜)가 말하기를, ‘종정성(宗貞盛)이 보여 준 일본국왕의 교서 가운데에는 사신의 배가 한 척이라.’ 하는데, 이번에 온 배는 세 척이니, 그 두 척은 일본에서 보낸 것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