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려가 남해도의 남쪽, 이조항 ․ 장항 등에 병선을 정박시켜야 한다는 상서를 올리다.
전 광양현감(光陽縣監) 강희려(姜希呂)가 상서하기를,
“남해도(南海島)의 남쪽, 미조항(彌助項) ․ 장항(獐項) ․ 동모포(冬毛浦) 등과 같은 곳은 병선을 정박시켜야 할 곳입니다. 그러나 일찍이 방어의 시설을 하지 않아서 왜변을 당하여 막을 때에는 ...
-
조지소에서 왜닥씨를 태안 ․ 진도 ․ 남해 ․ 하동에 나누어 심게 할 것을 아뢰다.
조지소(造紙所)에서 아뢰기를,
“강화(江華)에 심은 왜닥 씨[倭楮種]를 바다 기운이 서로 연해 있는 충청도의 태안(泰安), 전라도의 진도(珍島), 경상도의 남해(南海) ․ 하동(河東)에 나누어 심게 하옵소서.”
하니, 그...
-
정분이 종사관을 충청 ․ 전라 ․ 경상도에 파견하여 축성에 관한 일을 감독하게 할 것을 청하다.
충청·전라·경상도 도체찰사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청컨대 종사관 김순(金淳)을 경상도에 보내어 군사 7,500명을 뽑아서 울산(蔚山) · 유포(柳浦)에 석보를 쌓게 하여 좌도도만호(左道都萬戶)·우도도만호(右道都萬戶)로 하여금 병선을 거느리고 수호...
-
의정부에서 여러 도의 도회소에서 만드는 군기의 일정 액수를 정하기를 청하다.
의정부에서 병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전라도 · 경상도 · 충청도 · 강원도 등 여러 도의 도회소(都會所)에서 만드는 군기가 일정한 액수가 없어서 감련관(監鍊官)의 하는 데에 따라서 그것을 만들므로 혹은 지나치게 많아서...
-
병조에 경상도 김해 등의 읍성에 군사를 보내 지키게 할 것을 청하니 따르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도의 김해(金海) · 고성(固城) · 곤양(昆陽) · 하동(河東), 전라도의 낙안(樂安) · 보성(寶城) · 장흥(長興) · 해남(海南) · 함평(咸平) · 영광(靈光), 충청도의 서천(舒川) 등 여러 ...
-
병조의 건의로 각도의 중익 ․ 좌익 ․ 우익을 혁파하고 거진을 설치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이제 전지를 받들어 제도의 중익·좌익·우익을 혁파하고, 양탁하여 거진(巨鎭)을 설치하여, 소속된 바의 모든 고을을 마감하여 계문합니다.
평안도 평양진(平壤鎭)에는 중화(中和) ·...
-
경상좌도 절제사 이호성이 삼포의 방비에 대해 상서하다.
경상좌도절제사 이호성(李好誠)이 상서하기를,
“신은 달리 기능도 없는데 외람되게 성상의 덕을 받들어, 창을 메고 변방의 요새를 지킨 지 10여 년이 되었는데, 이제 편모의 노병으로 특별히 돌아가 〈어미를〉 봉양하기를 허락하셨습니다. 남방에 분부한 지...
-
병조에서 충청도 ․ 경상도 ․ 전라도의 방어하는 일을 아뢰다.
병조에서 충청도·경상도·전라도의 도순문진휼사(都巡問賑恤使)인 한명회(韓明澮)의 계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연변의 여러 고을은 국가의 울타리와 같아서 적의 침입을 받는 맨 처음 땅인데도, 그 곳의 인민은 혹은 선군이라 일컫기도 하고, 혹은 진군이라 ...
-
경상도 관찰사 손순효가 연해의 방수 대책을 글로 올리다.
경상도관찰사 손순효(孫舜孝)가 글을 올리기를,
“신이 지난 무술년에도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고, 을사년에는 또 본도 관찰사가 되었는데, 양도의 연해 형세를 낱낱이 살펴보았습니다. 강원도는 통천(通川) ․ 흡곡(歙谷)·고성(高城)·간성(杆城)·양양(襄陽...
-
예조가 대마도주의 서계에 회답하여, 왜인이 약속을 어긴 일을 깨우치게 하다.
예조가 대마도주의 서계에 회답하였다.
“서계를 보고 보인 뜻을 갖추 알았다. 귀도가 대대로 정성을 바치어 각근하게 섬기어 두 마음이 없으므로, 국가에서 대우하는 것도 이르지 않음이 없었다. 다만 우리 조종께서 처음에 귀도 사람이 삼포에 와서 사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