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 및 사환의(師還儀)의 성립과정과 내용 = The Formativ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military rites,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and Sahwaneui(師還儀) in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6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t with three research tasks in a broad sense. The first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litary rit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volume 'military rites' of 「Yeji(예지)」.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contents and a...

      This study dealt with three research tasks in a broad sense. The first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litary rit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volume 'military rites' of 「Yeji(예지)」.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contents and actual case of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and thereby attempt to understand what ritual procedures and operation occurred. The final task is to examine the contents, cases and operational methods of Sahwaneui(師還儀) paired with the rites of going into battl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Goryeo Dynasty organized the military rites ritualizing the military control by administering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by means of courtesy and dignity for the purpose of their assimilation. The military rites in Goryeo Dynasty were composed of Gyeonjangchuljangeui(遣將出征儀), Sahwaneui(師還儀), Guilwolsikeui(救日月食儀) and Gyedongdaenaeui(季冬大儺儀). But it is judged that the actual rites differed from the military rites of 『Goryosa(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First of all,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were equipped with the ancestral rites for a successful war such as Ryu(類), Eui(宜), Jo(造) and so on. The Goryeo Dynasty enhanced the dignity of the holy royal authority by performing the rites for taking and returning battle-axes and halberds(斧鉞) at Gyeongryeongjeon(景靈殿) with the king at the center through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and Sahwaneui(師還儀) probably organized in the reigning period of kings Yejong and Injong. In particular, Sahwaneui(師還儀) again reinforced subjects' loyalty towards its royal family and kings of the Goryeo Dynasty by symbolizing the facet of sharing virtues with the king at the center by means of dance(舞蹈), Seonggunmanbok(聖躬萬福), Seonji(宣旨), Seonropo(宣露布). Seonsajusik(宣賜酒食) and so on. It mirrored the aspect of sharing the triumphant joy with those making a triumphant return from the batt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대상과제로 삼은 것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군례의 의미와 「예지」 군례편의 구성 등에 대한 검토이다. 다음은 견장출정의의 성립과 내용, 실제 사례 등을 검토하여 어떠한 ...

      본 연구에서 대상과제로 삼은 것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군례의 의미와 「예지」 군례편의 구성 등에 대한 검토이다. 다음은 견장출정의의 성립과 내용, 실제 사례 등을 검토하여 어떠한 의례절차와 운영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이해 시도이다. 마지막으로는 출정에 따른 의례에 짝하는 것으로서 ‘사환의’의 내용과 사례, 그리고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정리이다. 이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에서는 국내외를 예 및 위엄으로 다스려 동화(同和)하기 위해 치군(治軍)을 의례화한 군례(軍禮)를 정비하였다. 군례에 정리된 것은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사환의(師還儀)․구일월식의(救日月食儀)․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였다. 그렇지만 실제 의례는 『고려사』의 군례와 달랐다 판단된다. 먼저 견장출정의와 관련해서는 류(類)․의(宜)․조(造) 등의 승전을 위한 제사를 갖추고 있었다. 대략 예종 및 인종 대에 정비되었을 견장출정의와 사환의를 통해 고려는 경령전(景靈殿)에서의 부월(斧鉞) 출납과 환납을 국왕을 중심으로 행함으로써 신성한 왕권의 권위를 높였다. 특히 사환의에서는 국왕을 중심으로 그 덕을 나누는 면을 무도(舞蹈)나 성궁만복(聖躬萬福), 선지(宣旨) 및 선로포(宣露布)․선사주식(宣賜酒食) 등으로 상징화하여 재삼 고려 왕실과 국왕에 대한 신종(臣從) 의식을 강화하였으며, 개환(凱還)한 이들과 그 기쁨을 나누는 동락(同樂)의 면이 반영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渡邊信一郞, "중국 고대제국의 조정과 의례 天空의 玉座" 신서원 2002

      2 이왕무, "조선전기 軍禮의 정비와 射禮의 의례화" 동양고전학회 (54) : 319-348, 2014

      3 채미하, "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 한국사연구회 (149) : 107-139, 2010

      4 장동익, "고려시대의 景靈殿" 역사교육학회 (43) : 487-512, 2009

      5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6 한정수,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設行과 統合意識" 한국중세사학회 (55) : 319-360, 2018

      7 홍영의, "고려 궁궐내 景靈殿의 구조와 운용" 한국학연구소 37 : 67-91, 2012

      8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01-127, 2009

      9 한정수, "고려 太祖代 대외 교섭과 外交儀禮" 한국사연구회 (170) : 137-175, 2015

      10 尹薰杓, "高麗時代 軍制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34 : 1997

      1 渡邊信一郞, "중국 고대제국의 조정과 의례 天空의 玉座" 신서원 2002

      2 이왕무, "조선전기 軍禮의 정비와 射禮의 의례화" 동양고전학회 (54) : 319-348, 2014

      3 채미하, "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 한국사연구회 (149) : 107-139, 2010

      4 장동익, "고려시대의 景靈殿" 역사교육학회 (43) : 487-512, 2009

      5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6 한정수,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設行과 統合意識" 한국중세사학회 (55) : 319-360, 2018

      7 홍영의, "고려 궁궐내 景靈殿의 구조와 운용" 한국학연구소 37 : 67-91, 2012

      8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01-127, 2009

      9 한정수, "고려 太祖代 대외 교섭과 外交儀禮" 한국사연구회 (170) : 137-175, 2015

      10 尹薰杓, "高麗時代 軍制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34 : 1997

      11 이범직, "韓國中世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12 홍승현, "晉代 喪服書의 편찬과 성격 ― 喪服禮의 확정 과정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02) : 1-39, 2008

      13 김당택, "『상정고금예문』의 편찬 시기와 그 의도" 21 : 1992

      14 김해영, "『상정고금례』와 고려조의 祀典" 55 : 1994

      15 김창현, "『고려사』 예지의 구조와 성격" 고려사학회 (44) : 37-83, 2011

      16 김철웅, "『詳定古今禮』의 편찬 시기와 내용" 동양학연구원 (33) : 233-25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