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성2022인문사회 21In the Late 19th Century, Two Branches of SocialTransformational Public Consciousness in JoseonBosung J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
김정희2021동학학보이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천도교회월보》 전체를 범위로 하여 당시의 천도교 내 공연문화가 어떠한 내용으로 전개되었는지 유형별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며, 아울러 그것이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월보에서 공연예술 관련 내용을 모두 찾아 색인을 작성하고,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다음, 각 유형의 전개양상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천도교 내 공연예…
-
조성환2020신학과 철학This essay attempts to discover Donghak(東學)’s modernit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Until now,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
-
이재필2019대구경북연구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idea of Hongik-Inkan as the basic spirit and cultural origin of Korean people, and reviewing the history of it…
-
고순희2016韓國 詩歌硏究〈경난가〉는 동학농민군 지도자로 활동했던 학초 박학래(1864~1943)가 창작한 가사문학이다. 4음보를 1구로 하여 425구가 되는 장편가사로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작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난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그 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의의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먼저 〈경난가〉의 창작 배경과 이본 문제를 살폈다. 작가는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전력때문에 몰수된 재산을 되찾기 위해…
-
김윤경2013道敎文化硏究조선후기 民間道敎의 특징들은 신종교에서 어떻게 수용되는가. 이를 위해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을 네 가지 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관제신앙의 확대이다. 關帝信仰(관우신앙)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전파되면서 빠르게 민간에 유포되었다. 둘째는 民間道敎結社의 영향을 받은 ‘묘련사(선음즐교)’와 ‘무상단’의 등장이다. 妙蓮社와 無相壇은 교단 형태를 갖춘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도교라고 볼 수 있다. 셋째 …
-
조혜란2010한국문화연구조선시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傳) 작품들은 대개가 열녀전(烈女傳)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의 연구자들도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전(傳)은 으레 열녀전과 관련하여 읽어낸다. 그런데 어떤 인물을 ‘열(烈)’이라는 단어로 기렸을 때 이때 ‘열(烈)’ 은 ‘열녀…
-
조혜란2010한국문화연구조선시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傳) 작품들은 대개가 열녀전(烈女傳)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의 연구자들도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전(傳)은 으레 열녀전과 관련하여 읽어낸다. 그런데 어떤 인물을 ‘열(烈)’이라는 단어로 기렸을 때 이때 ‘열(烈)’ 은 ‘열녀(烈女)’의 ‘열’일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열렬(烈烈)한 성격을 지닌 ‘열사(烈士)’의 ‘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여성을 입전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