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윤덕이 국경 연변의 성보를 수축할 것을 건의하다.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 판부사 최윤덕(崔閏德)이 아뢰기를, …… 윤덕이 또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각도 성보의 수축 명령을 받고 연전에 하삼도의 성보를 순행 시찰하였사온데, 몹시 퇴락하고 무너져 있었으며, 요행히 견고한 성…
  • 최문손이 성보 기지의 시찰을 위해 최윤덕을 파견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아뢰다.
    장령(掌令) 최문손(崔文孫)이 아뢰기를, “이제 듣자오니 판부사(判府事) 최윤덕(崔閏德)을 충청도에 보내어 성보의 기지를 시찰케 한다 하오니, 신의 생각으로는 불가하온 줄 아옵니다. 본도의 백성들이 금년에 양전으로 곤궁하였고, 또 사신을 지대하는 노고가…
  • 정분 등이 성보 기지의 시찰을 위해 최윤덕을 충청도에 파견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아뢰다.
    집의 정분(鄭苯) 등이 상소하기를, “나라를 보전하는 도는 의당 안위를 생각함에 있고, 백성을 부리는 도는 반드시 풍흉을 살핌에 있사온데, 이는 만대를 통하여 언제나 변함없는 법칙입니다. 전하께옵서 연변의 성곽이 갖추어지지 않음을 깊이 우려 하시와, 일…
  • 최윤덕이 충청도에서 읍성을 건조할 적처를 아뢰다.
    도순찰사(都巡察使) 최윤덕(崔閏德)이 아뢰기를, “충청도 비인(庇仁) ․ 보령(保寧)의 두 현은 해구(海寇)들이 가장 먼저 발길을 들여놓는 지대인데, 비인의 읍성이 평지에 위치하여 있고, 보령의 읍성은 높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어 모두 성터로 맞지 않습니…
  • 사간원에서 도마다 성을 쌓는 일을 중지할 것을 아뢰다.
    사간원에서 아뢰기를, “금년에 농사가 잘 되지 못하였는데 도순문사 최윤덕(崔閏德)은 도마다 몇 군데에서 한꺼번에 성을 쌓고 있습니다. 백성의 힘이 벌써 지쳤사오니 금년에 성을 쌓는 공사는 중지하게 하고, 어쩔 수 없이 연변에 쌓아야 할 곳…
  • 최윤덕이 충청도 비인 등지에서 성을 쌓다.
    도순문사 최윤덕(崔閏德)이 경상도의 연일(延日)․곤남(昆南)․합포(蛤浦)와 전라도의 임피(臨陂)․무안(務安)․순천(順天)과 충청도의 비인(庇仁)․보령(保寧) 등의 성을 쌓았다. 이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부종관(副從官)을 시켜 창기를 데리고 연회를 베풀어, 군…
  • 권진이 최윤덕의 성 축조를 내년 가을로 미룰 것을 건의하다.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 이조판서 권진(權軫)이 아뢰기를, “도순문사 최윤덕(崔閏德)이 부사와 수행하는 관원을 데리고 간 곳마다 지방의 접대가 너무 번폐하오니, 오래 지방에 머물러 있는 것은 매우 옳지 못합니다. ‘가을에 할 …
  • 최윤덕이 화살에 칠 하는것, 성의 보수공사, 사신의 호위군사 등에 관해 아뢰다.
    정사를 보았다. 판부사 최윤덕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중국에 갔을 때에 화살에 살촉을 갈고 깃을 붙이는 것을 보니, 그 끝을 심줄로 잡아매고 칠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잡아매지도 아니하고 칠도 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비와 눈이 내리는 날에는 화살의…
  • 황희 ․ 맹사성 ․ 권진 ․ 최윤덕 ․ 허조 등에게 성 쌓기를 감독하는 일에 대해 의논하라고 명하다.
    호조참의 박곤(朴坤)을 하삼도에 보내어 성 쌓기를 마치게 하고, 황희․맹사성․권진․최윤덕․허조 등에게 감독하는 일을 의논하라고 명하니, 희 등이 아뢰기를, “성 쌓기를 완실하게 하지 못하여 5년 안에 무너지게 되면, 그 관리는 율에 의하여 형장 80을 …
  • 축성의 명을 받은 최윤덕이 시찰결과를 아뢰다.
    판부사 최윤덕이 상언하기를, “신이 성을 쌓으라는 명령을 받자와, 연해 지방의 여러 고을에는 지난해부터 비로소 쌓았는데, 경상도감사는 배치를 늦게 하여 금년에 역사를 시작했으니, 너무 늦었으므로 그만두도록 명했습니다. 신은 생각하건대, 이때에 성덕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