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진2014고전문학과 교육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의 원리와 사유 방식을 설화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설화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생태학의 관점 가운데 교육적 의미가 있는 주요 이론과 요소들을 선정, 구조화하고 이를 설화교육에 적용한다면, 어떠한 방향...
-
박수밀2010동아시아 문화연구현실주의와 관련을 맺는, 문명과 관련을 맺는 고전의 생태주의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조선후기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생태 정신에 주목하였다. 박지원의 생태 정신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활물의 생태학이다. 연암은 인간과 자연이 서로 교감하는 존재라 생각했다. 자연은 스스로 태어나 성장하고 변화해가는, 살아 숨쉬는 생명체였다. 사물의 소리와 움직임은 그 자체로 문학이고 예술이었다. ...
-
한승옥2007한중인문학연구21세기는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어 혼류되고 있는 격변의 시대다. 작금의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며 전통 문화의 보존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지혜다. 이에 필자는 본고에서 우리가 보존해야할 전통적 가치로 ‘선비정신’과 ‘우리 고유의 멋’ 그리고 ‘기 문예론’을 살펴보았다. ‘선비’는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으로, 유교 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다 선비는 위태로움을 당하...
-
신두환2004한문교육연구조선 성리학의 조종으로 불리는 한훤당 김굉필(1454∼1504)이 살았던 시대는 조선의 건국과 수성기를 거치면서 그 권력의 주역들이 신흥 사림들에 의해 훈구(勳舊) 세력의 관료로 몰리면서 심각한 대립의 양상을 드러내고 있던 이른바 '士禍'의 시기이다. 조선 500년은 道(성리학)의 나라였다. 만물에 대한 창조설을 과학적으로 설명한 주렴계의 태극도설은 주역의 계사전을 수용하고 경전의 인식을 재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