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경2015본 논문은 조선후기(1700-1850) 실경산수의 완성자로 주목되는 겸재 정선(謙齋 鄭歚, 1676-1759)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에 나타난 남ㆍ북종南ㆍ北宗 ‘화법畫法’의 융합融合에 의해 형성된 회화성繪畫性을 분석하여 그의 ‘의도’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겸재가 살던 당대 교조주의적인 성리학이 인식하는 회화적 관점은 동기창(童其昌, 1555-1636)이 구분...
-
조자경2000책거리 그림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책과 함께 하는 삶의 공간을 표현한 병풍그림이다. 선비방의 서재에 있음직한 물건들과 함께 재구성하는 것이 통례이다. 유교를 바탕으로 한 생활속의 장식화인 셈인데, 동양의 도교적 소우주를 표현하고 있다. 이런 책거리 그림은 넓...
-
박천기1991Of the culture patterns which are possessed by every nation around the world and composed of its spiritual and practical elements, the fine art...
-
정성복1990First Chinese blue-and-white ceramic wares were made in1455 at t h e government-managed kiln which was located in Domari near Kwang-ju(廣州). At ...
-
김덕혜1989有史以來 人間의 歷史와 그 發生을 같이하고 함께 호흡해 온 陶磁文化는 그 시대적 상황, 民族的 美意識, 文化的 特性을 명백히 반영하는 歷史的인 産物로서 부단히 발전하고 다양하게 變化되어 왔다. 이러한 陶磁文化는 朝鮮朝에 이르러서 朝鮮朝 初期의 工藝意匠의 ...
-
이은주1985역사적으로 그 민족이 자기 나라의 文化藝術을 얼마만큼 알고 있으며 소중하게 아끼느냐 하는 문제는 民族我의 意識과 긍지를 갖는데 있어서 커다란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時代的, 文化的으로 볼 때 과거 우리의 공예역사는 상당히 獨創的인 모습을 보여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