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모2022군사The first document in which the name ‘Choseon’ appears is 『Guanzi』. According to 『Guanzi』, the name ‘Choseon’ already appeared in the middle of...
-
양홍진2019인문과학연구『삼국사기』와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의 사서에는 자연 현상을 관측한 천문과 기상 관련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이들 중에서 일식은 관측 시기와 관측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서 고대 일식 기록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면 역사 해석의 객관적 자료로 ...
-
구도영2017東北亞歷史論叢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
-
남의현2012한일관계사연구元末明初 明나라는 鐵嶺衛 설치시도, 공로폐쇄, 두만강 유역 10處 여진인 회유, 奴兒干都司의 설치, 遼東八站으로의 진출 등 강역을 확대하기 위한 많은 조치를 취하였다. 중국은 이러한 명초의 시도들을 통해 압록강과 두만강이 조선과의 국경선이 되었고 광활한 여진지역이 명나라의 관할지역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말명초 『明實錄』과 『朝鮮王朝實錄』등 양국의 관련 사료를 살펴보면 이러한 중국의 주장과...
-
김강일2010東北亞歷史論叢Separated by seas,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ngaged actively in interaction too in the pre-modern period. As maritime a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