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헌유고 목록

退軒遺稿
퇴헌유고
退軒遺稿
-
徐宗伋
서종급
  • 한국문집총간(속) 제69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퇴헌(退軒) 서종급(徐宗伋, 1688~1762)의 문집이다. 본집은 전사경위가 분명하지 않은 괘인사본이다. 본집은 10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 서문은 없고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대개가 일상생활에서 지인들과 화운하거나 관직 생활 중의 심회를 읊은 것이다. 이 가운데 〈영회(詠懷)〉 이하 여러 작품들은 고금도(古今島)에 유배되었을 당시 지은 것이며, 〈관서백연시연주초구화(關西伯延諡宴走草求和)〉 이하 몇 편은 홍원 현감(洪原縣監)으로 좌천되었을 때 지은 시들이다. 권2~3은 소(疏)이고 권4~5는 응제록으로 반교문, 옥책문, 악장, 교서, 제문, 치제문, 불윤비답이다. 권6~7은 이기진(李箕鎭), 김취로(金取魯) 등의 시장과 가장, 행장, 비명, 묘갈명이다. 권8은 묘지, 책(策), 서(序), 전(箋), 장(狀), 서(書)이고 권9는 상량문, 혼서, 제문, 축문, 기(記), 일록이다. 일록은 조고비묘의 비문을 청하기 위해 청풍(淸風) 황강(黃江)에 있던 권상하(權尙夏)를 찾아뵈러 가면서 적은 일기이다. 권10은 부록으로 저자가 받은 교서와 묘지명, 작자 ㆍ의 묘지, 제문, 만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退軒 徐宗伋(1688 : 肅宗 14 ~ 1762 : 英祖 38)의 文集이다.
    ○ 本集은 轉寫經緯가 分明하지 않은 罫印寫本이다.
    ○ 分量은 10卷 5冊으로 總 450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 藏本(圖書番號 : 古3428-243)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8×15.5(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10 目錄은 卷首題의 卷次가 「9」로 誤記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석문집(石門集) 윤봉오(尹鳳五) -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안와유고(安窩遺稿) 홍낙인(洪樂仁) 1787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지수재집(知守齋集) 유척기(兪拓基) 1878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