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洪錫箕, 1794, 晩洲遺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만주(晩洲) 홍석기(洪錫箕, 1606~1680)의 문집이다. 본집은 현손 천서(天瑞)가 소실되고 남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94년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원집 7권, 부록 합 3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1793년 김종수(金鍾秀)가 지은 서문이 있다. 권1은 존주록(尊周錄)으로 ...

  • 洪瑞鳳, 1706, 鶴谷集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 제7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박승건(朴承健)이 효종 연간에 목판으로 초간한 뒤, 증손 구채(九采) 등이 시문과 부록을 추록하고 보옹유고(葆翁遺稿)〔저자의 아들 명일(命一)의 문집〕를 부집하여 1706년 간행한 중간본이다. 여기서 부집은 제외하였다. 원집 9권ㆍ부록 2권 합 4책(252판)의 운...

  • 洪命元, 1656, 海峯集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 제8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처후(處厚)가 수집ㆍ편차하여 1656년 간행한 초간본이다. 권1 ~ 3은 시이고, 권3 후반부에 문(文)이 실려 있으며, 부록은 없다. 3권 3책(178판)의 목판본이다.

  • 洪大容, 1939, 湛軒書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 제248집 저본은 저자의 5대손 영선(榮善)이 15책의 고본(稿本)을 재편하고 홍명희(洪命憙)가 교정하여 1939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연철자로 인행한 초간본임. 내집 권1~2는 문, 권3은 문과 시이고, 외집 권1~10은 문, 부록에 묘지명·묘표·유사·애오려제영(愛吾廬題詠)·건곤일초정제영(乾坤一草亭...

  • 洪樂仁, 1787, 安窩遺稿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안와(安窩) 홍낙인(洪樂仁, 1729~1777)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 사후에 정조(正祖)의 명(命)으로 편찬(編纂)되어, 1787년 5월에 어제서(御製序)를 붙여 내부(內府)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하였다. 본집(本集)은 6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정조가 1787년에 지은 어제서(...

  • 洪貴達, 1843, 虛白亭集
    조선시대 전기
    한국문집총간 제14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외현손(外玄孫) 최연호(崔挻豪)가 저자의 현손 호(鎬)의 가장초고본을 1611年 구례(求禮)에서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고, 속집(續集)은 후손 종구(宗九)ㆍ종표(宗標)ㆍ기찬(箕璨) 등이 수집하여 유치명(柳致明)의 교정을 거쳐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 洪九淵, 1635, 磨鏡軒集
    조선시대 중기
    조선 시대 마경헌(磨鏡軒) 홍구연(洪九淵, 1606~1629)의 문집이다. 본집은 부친 무적(茂績)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이식(李植)의 교정을 거쳐 1635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불분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이식이 1635년에 지은 서문이 실려 있다. 본집은 모두 저자의 시 작...

  • 洪啓英, 1721, 觀水齋遺稿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관수재(觀水齋) 홍계영(洪啓英, 1687~1705)의 문집이다. 본집은 부친 우채(禹采)가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蒐集)하여 홍세태(洪世泰)의 산정ㆍ편차를 받아 1721년경 목판(木板)으로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2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홍세태, 조유수(趙裕壽)의 서(序)...

  • 洪敬謨, 간행년도 미상, 冠巖全書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관암(冠巖) 홍경모(洪敬謨, 1774~1851)의 문집이다. 《관암전서》는 시문 중 상당수를 가려 뽑은 것으로, 저자가 자신의 시문을 종합하려는 의도에서 자편한 것으로 보인다. 《관암전서》의 체재는 저자가 개편한 《총사》와도 상이하고, 저자의 저술 내에는 편찬에 대한 언급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저자...

  • 洪侃, 1688, 洪崖遺槀
    고려
    한국문집총간 제2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霶이 동문선ㆍ淸邱風雅 등에서 집일하여 1629년 초간한 것을 1688년 후손 萬朝가 다시 정리하여 간행한 重刊本이다. 저자의 詩와 부록ㆍ世系가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