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南龍翼, 1695, 壺谷集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 제131집 본 문집은 1695년 경 간행된 목판본으로 권1~10은 시, 권11~12는 부상록(扶桑錄)과 연행록(燕行錄), 권13~권14 앞부분은 과제록(課製錄), 응제록(應製錄), 여문(儷文), 권14 뒷부분~권15 앞부분은 소(疏), 차(箚), 계사(啓辭), 권15 뒷부분~권16 앞부분은 서ㆍ발ㆍ기, ...

  • 柳範休, 1900, 壺谷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호곡(壺谷) 유범휴(柳範休, 1744~1823)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차남 정문(鼎文)이 가장을 완성하지 못하고 졸한 데다 서발(序跋) 등이 없어 간행 주체나 경위를 알 수 없지만, 부록의 연보 말미 기사에 “상삼십칠년경자간행문집(上三十七年庚子刊行文集)”이라고 하여 경자년인 1900년에 간행되었음을 ...

  • 柳徽文, 1896, 好古窩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호고와(好古窩) 유휘문(柳徽文, 1773~1832)의 문집이다. 아들 치교(致喬)가 유고를 수습하여 등사에 착수하여 판독이 어려운 초본은 문세와 의리에 따라 추정하여 정리하고 저자의 문인 신필흠(申弼欽), 족자 치호(致皜) 등도 상수(象數), 율려(律呂) 등을 교정하였으며, 이후 종증손 필영(必永)이 문중...

  • 李稷, 1737, 亨齋詩集
    조선시대 전기
    한국문집총간 제7집 본 문집의 저본은 김종직이 編次한 家藏草稿를 孫子 永秦이 초간한 뒤 후손 稶이 초간본의 殘卷을 교정하여 1618년 중간한 것을 바탕으로, 후손 應協이 1737년 補刻한 것이다.

  • 李昭漢, 1675, 玄洲集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 제101집 본 문집은 저자의 아들 은상(殷相)이 1645년경 만년의 저작과 승문원(承文院)과 사우간(士友間)에서 수집한 것을 각록(各錄)으로 편차한 후 1674년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부록, 원집7권 합2책(175판)이다.

  • 趙纘韓, 1651, 玄洲集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 제7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비(備)가 수집ㆍ편차하여 1651년 초간한 뒤, 손자 구상(龜祥)이 1710년 간행한 중간본이다. 15권 5책(451판)의 활자본이다.

  • 尹新之, 간행년도 미상, 玄洲集
    조선시대 중기
    조선 시대 현주산인(玄洲散人) 윤신지(尹新之, 1582~1657)의 문집이다. 본집은 자편고를 후손들이 18세기 전반에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으로 그 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원집 13권, 부록 합 5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자서가 있고, 각 권마다 목록이 있다. 권1~7은 시 500여 제가 연대순으로 실...

  • 尹東野, 1897, 弦窩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현와(弦窩) 윤동야(尹東野, 1757~1827)의 문집이다. 본집은 족손 병효(炳斅)가 가장유고(家藏遺稿)에 저자가 당시의 명석(名碩)들과 창수(唱酬)한 것을 모아 이근용(李根容)에게 교정과 서후(書後)를 받아 초성(抄成)한 뒤 1870년경 자신과 형 병주(抄成)의 발문을 추가하여 간행에 대비하였고, 18...

  • 崔有淵, 1675, 玄巖遺稿
    조선시대 중기
    조선 시대 현암(玄巖) 최유연(崔有淵, 1587~1656)의 문집이다. 본집은 생질 맹주서(孟胄瑞)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재편하여 1675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원집 4권, 별집 합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오언절구, 칠언절구, 오언율시, 육언, 칠언율시이다. 작품에는 중양절에 ...

  • 鄭百昌, 1650, 玄谷集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 제9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선흥(善興)이 수집ㆍ편차하여 1651년경 간행한 초간본이다. 지문(誌文)에 저자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다. 시집 6권ㆍ문집 2권ㆍ지문(誌文) 합 3책(186판)의 목판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