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흥철
    2016
    남명학연구
    『구봉집(龜峯集)』 권3의 「태극문(太極問)」은 원작자가 누군가에 대 한 진위 문제는 있지만, 그 내용 자체로 조선중기 율곡학파의 태극관 (太極觀)과 리기관(理氣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 다. 이 글에서는 「태극문」의 저자를 구봉(龜峯)으로 보고, 그 속에 담긴 철학사상을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개념과의 상호...
  • 전용주
    2014
    濂溪 周敦頤가 지은 太極圖說은 宋代 性理學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거기에는 宇宙의 本體에 관한 문제, 萬物의 生成原理에 관한 문제, 인간의 本質과 本性에 관한 문제, 價値標準으로서의 人極에 관한 문제 그리고 聖人에 이르기 위한 修養의 방법과 成聖論 등의 중요한 思想이 함축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太極圖說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