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재용2018인문사회 21이 연구의 목적은 이태환의 『조선미』에 나타난 공간의 구조와 양상을 살펴보고 그 공간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조선미』는 1945년 9월에 간행된 시집으로 해방 후 최초로 간행된 시집이며 자아를 목도함으로써 정신적 사유를 보여주는 시집이다. 해방 후 첫 시집이라는 사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조선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선미』는 공간의 구성방식을 달리함으로써 공간성을 지니게 된다. 그...
-
오태영2015동아시아 문화연구1945년 8월 15일 제국 일본의 패전에 의한 식민지 조선의 해방은 조선의 위상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것은 제국-식민지 체제 내 식민지 지방으로부터 벗어나 탈식민-냉전 체제 형성기 국민(민족)국가 수립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고,...
-
오태영2015동아시아 문화연구1945년 8월 15일 제국 일본의 패전에 의한 식민지 조선의 해방은 조선의 위상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것은 제국-식민지 체제 내 식민지 지방으로부터 벗어나 탈식민-냉전 체제 형성기 국민(민족)국가 수립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때 지정학적 상상은 세계 체제 및 동아시아 지역 질서 내 조선의 위상을 정립, 강화시키기 위한 학문적 원동력이었다. 표해운의 『조선지정학개관...
-
이에나가 유코2012인문과학연구본고는 1920년대 문화 계몽 운동을 주도한 개벽사 잡지 開闢과 別乾坤을 통해 한국문화의 자부심을 살펴보았다. 첫째, 開闢의 「팔도대표의 팔도자랑」을 통해 지역 특성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으며조선문화의 원천은 바로 지역의자랑거리에있음을알 수있었다. 특산물 이나 공예는 팔도 자랑의 범주를 벗어나 한국의 특산물로 인식되어 호평을 받고 있는 대목들이다. 그런데 1925년 開闢의 「팔도대표의 팔도자랑...
-
이에나가 유코2011역사민속학본고는 북촌 지역의 역사적 인식과 지명 유래의 배경을 검토하기 위해서 첫째, 북촌 지명 유래 고찰과 조선후기-일제시기 당대 사람들의 인식을 정리하고 둘째, 일제시기 민족적 공감대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종각을 기준으로 북쪽이라는 지리적 위치나, 한성부 北...
-
권상우2011퇴계학과 유교문화本文是通過在日本强占期間自于民族性與儒學的談論來試探``韓國的儒學``. 這時日本官方學者, 爲了證明朝鮮統治的正當性和合法性. 他們主張朝鮮的民族性是缺乏了主體性的後進民族. 特別是高橋亨通過硏究朝鮮性理學而主張朝鮮民族是缺乏了創意性和自主性的民族. 但是民族主義知識人申采浩有和高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