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주형2019필통(筆筒)은 문방구(文房具) 중 하나로 연적과 함께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제작된 기물이다. 문방구는 서화를 그리고 책을 읽기 위하여 서재의 책상위에 비치하는 기물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 문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고려 중기 경으로 추정되며, 이는 고려시대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에 “문방사보”에 관한 기록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필통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는데 도자필통은 모두가 ...
-
이반디2019본 연구는 현대도예의 전개 후 다소 위축되었던 공예성에 대한 조명과 미니멀리즘 미술의 특성이 도자에 표현되어 나타나는 양식에 대한 연구이다.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된 현대도예의 전개양상과 우리나라의 전개양상을 고찰한 결과 양국이 공통적으로 전후(戰後) 혼란기인 상황에서 현대도예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1950년대 말부터 대학에서 도예교육이 시작되어 본격적으로...
-
이보현2019This study is based on the demand patterns of porcelain used in government office in Hanyangdoseong. Until today, active excavation researche...
-
강경연2013This study targeting th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tomb of Korea, Chosun era surveyed in Kimhae area, KyungNam Province, its objective is to...
-
장성룡2008朝鮮時代 白磁는 高麗時代 靑磁와 朝鮮時代 粉靑沙器와 더불어 韓國 陶磁史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려시대를 풍미했던 佛敎가 말기에 가까워지면서 여러 가지 폐단을 드러내고, 당시 元을 통해 도입된 朱子學에 의해 점차 세력이 꺾이게 되면서 朝鮮時代에 ...
-
김진아2004This essay is to look into the symbols and aesthetic value of patterns on Korean potteries', which reflect the life and its change of Chosun Dy...
-
박기희2003강진의 요업체계의 변화로 퇴락한 청자의 전통을 잇게 되는 고려말의 도자제자 양상은 청자 의 무리 속에 백자의 활발한 제작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고 조선이 건국되자 그 진면목을 발휘하듯 다양한 기형과 문양으로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조선의 대표 주자인 백자...
-
조원혁2002with earthen tiles used in rooftops.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y ceramic bricks were used for decorating walls and other structures. After...
-
이진용2002to be represented visually in realistic and concrete images derived from imaginary and abstract images. The shape of a dragon has been produc...
-
오창윤2001사람의 생활 중 식생활의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음식물의 섭취는 생존과 그에 따른 종족의 번식에 있어 피할 수 없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그 방식 자체가 한 문화의 고유함을 만들어 낸다. 이런 맥락에서 음식물을 담아내는 그릇은 한 시대와 공동체의 의식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