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水谷淸佳2020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This study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ch became active in 2000s,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
-
신효경2017어문연구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강릉매화타령〉․〈배비장전〉․〈무숙이타령〉의 기녀는 저마다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논문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기녀의 양상과 기능, 서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기녀는 유혹형 기녀와 열녀형 기녀로 나뉜다. 유혹형기녀인 〈강릉매...
-
권도희2012韓國 詩歌硏究이 글은 기생의 다양한 활동 중에 그들의 정체를 구성하는 핵심이 무엇이고, 그것이 그들의 활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것이 당시 사회와 역사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기생의 가창 계보는 기생의 활동 방향과 정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이었고, 그것을 통해 기생들은 공적 사회에서 정당한 경쟁을 치를 수 있었음을 밝혔다. 기생 간의 경쟁의 궤적은 기생조직의...
-
정우봉2009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이 논문은 妓生 詩帖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생문화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생 시첩은, 비록 사대부 남성의 문자를 빌리고 있지만, 기생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일부분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녀의 딸과 손녀들에 의해 전승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기생 시첩은 기생 자신의 역사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
-
신현규2007한민족문화연구기녀에 대한 문헌 기록은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까? 그 논란의 중심에서 항상 15세기에 발간된 『고려사』 「충렬왕」의 "妓種本出於楊水尺" 기록에 멈추게 된다. 과연 이 내용의 문헌보다 앞선 시기에 `기(妓)`의 기원은 찾을 수는 없을까라는 의문에서...
-
문순희2007본고는 조선 후기 서울 기생의 범위와 개관을 밝히고 18세기부터 19세기의 서울에서 활동하는 경기의 활동을 총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의 대상 자료로서는 朝鮮王朝實錄,承政院日記과 같은 국가기록과 함께 소설, 야담, 가사와 등의 기본 자료들, 그리고 이제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