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미정2019어문연구(語文硏究)이 논문은 현재확인 가능한 허균 편저의 총목록을 조사하고 밝혀서, 허균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정리를 시도한 것이다. 먼저 연구의 기본이 되는 허균의 시문 창작 활동 결과물과 허균이 다른 사람의 글을 재편하고 선별한 저작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이미 알려진 책들도 있지만 본고에서 처음 존재를 밝힌 자료들도 있다. 목록 정리와 더불어 각 저작의 내용이나 특징, 연구 현황과 과제까지 간략하게 밝혀보았...
-
이민지2013본 연구는 허균, 박지원, 정약용의 고전 산문을 중심으로, 문학 연구자들과 국어교육론자들의 연구 성과를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실제 현장에 필요한 문학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문학 교육 본래의 위상 회복이라는 의도를 충실하게 실현하기 위해 고전 산문이 갖는 문학교육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담보하는 실제 활용 가능한 수업교재 개발을 시도하였다. 고전 산문은 선조들의 가장...
-
박철상2007한국문화연구국문초록| 국조시산 은 허균이 편찬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시선집이지만 허균사후 80년이 지나서야 박태순에 의해 간행된다. 허균이 역모죄로 죽임을 당했기때문에 사람들은 국조시산 이 최고의 시선집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입에 올리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박태순이 간행한 국조시산 은 허균이 편찬한 원본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박태순이 간행을 위...
-
채미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
-
채미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