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학2018한국문화연구이 글의 목적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조선사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모든 역사학은 기본적으로 실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실증사학이라는 말은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이 글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의 본질은 사료의 수집과 해석에 관한 합리적 방법론이 아니라, 역사가의 존재와 목소리를 감추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
-
류시현2016한국사학보한말 시기부터 기존의 역사서술과 다른 형식인 민족사가 서술되기 시작한다. 민족사는 역사 단위의 주체인 主族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민족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시키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민족사 서술의 첫 시도로 신채호의 「독사신론」(1908)이...
-
류시현2015한국사학보근대 민족 국가의 수립과 함께 민족공동체의 역사가 구성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의 경우에도 민족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민족의 기원인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단군은 우리 민족 정체성의 상징인 동시에 공동운명체 형성의 중요한...
-
조법종2009先史와 古代2007년 개편된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한국사 교육이 기존의 국정 교과서 체제를 탈피하여 검인정 교과서 제도로 전환하게 된 상황은 한국 사회의 발전과 우리 역사 학계의 성숙된 모습에 부응하는 변화라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단일 국사 교과서가 아닌 다양한 입장이 개진될 수 있는 검인정 교과서의 출현은 우리 역사를 폭 넓게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