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종문종 4년(1050) 경인년문종 4년(1050) 경인년4년 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동북면도병마사(東北面都兵馬使) 박성걸(朴成傑)이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작년 10월 해적들이 진명포(鎭溟浦)(지금의 강원도 원산시 동남쪽 해안) 진명포 지금의 함경남도 원산시 남동...#동북면도병마사 #박성걸 #진명포 #병마녹사 #문양렬 #송제한 #도병마사 #문하시중 #최충 #수태부 #동북면병마녹사 #위위주부 #박용재 #나불 #경관 #김원충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형부사 #이자연 #내사시랑평장사 #정걸 #중추원사 #한림학사승지 #영새장군 #염한 #유원장군 #아가주 #중윤 #잉우헌 #장군 #요라나 #회화장군 #현릉 #선릉 #발해 #개호 #대걸라니촌 #소걸라니촌 #열산현 #영파수 #병부상서 #양감 #추동번병마사 #파천현 #나성 #골라개 #사이라 #정변진부장 #황보충 #대정 #송영 #충용군도지휘사 #고장안 #동경회례사 #동북면병마사 #초자도 #회경전 #백고좌인왕도량 #진명도부서 #부사 #김경응 #광의군절도사 #소질 #횡선사 #조일 #고주관찰사 #소옥
-
문종문종 5년(1051) 신묘년문종 5년(1051) 신묘년5년 봄 정월 초하루 계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계해일. 왕이 진관사(眞觀寺) 진관사 목종 2년(999) 7월 개경(開京)의 용수산(龍首山)에 창건하여 국왕의 모후인 헌애왕태후(獻哀王太后) 황보씨(皇甫氏)의 원찰로 삼은 화엄종(華...#진관사 #화엄경 #반야경 #경시서 #연등회 #봉은사 #근시 #백령진 #안찰부사 #상서병부원외랑 #유숙 #진장 #최성도 #부장 #최숭망 #상서좌복야 #이수화 #기우제 #최석 #보제사 #오백나한재 #광인관 #아골 #내사문하성 #중흥사 #대안사 #대운사 #황보연 #응양군 #대장군 #섭대부경 #진언 #좌우위 #노능훈 #신호위 #구정 #초제 #흥왕사 #대마도 #양한 #원보 #고사 #중추원사 #예부상서 #정걸 #귀주낭장 #강린 #창주별장 #강언 #최립 #귀덕장군 #두야불 #동북면병마부사 #김화숭 #합문통사사인 #서단 #서북면병마사 #박종도 #동북면병마사 #병마녹사 #윤보 #경충 #장주방어사 #김단 #삼각산 #개경 #검교공부상서 #야율수행 #동경회례사 #팔관회 #은주자사 #유종비
-
문종문종 6년(1052) 임진년문종 6년(1052) 임진년6년 봄 정월 초하루 무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갑인일. 최유선(崔惟善)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임명했다. 병진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포가주(包加主) 등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병인일. 동여진의 정...#최유선 #한림학사 #회화장군 #포가주 #정보 #마파 #정주 #영새장군 #고반지 #귀덕장군 #다로 #안서도호부 #지진 #연덕궁주 #원보 #아린 #사직단 #원리 #대안사 #이자연 #수태위 #김원정 #어사대부 #태사 #김성택 #이인현 #한위행 #양원호 #김정 #현화사 #삼사 #탐라국 #왕무숭 #중추원좌부승선 #최성절 #중추원우부승선 #전중시어사 #낙성도량 #이인정 #검교사도 #상서좌복야 #모아진 #삼살촌 #고연 #치담역 #병마녹사 #김충간 #자주방어판관 #장입신 #고지문 #통화 #현종 #산남 #피난 #상서우복야 #박섬 #상참 #문덕전 #금강도량 #진사 #장정 #비서교서랑 #악의 #육기 #합포 #삼척현 #임원수 #하주려 #안변도호판관 #김숭정 #형부상서 #이영간 #예부상서 #왕조 #호부상서 #유규 #공부상서 #김현 #산기상시 #한식 #문질 #우기리 #김열 #좌우위 #상장군 #검교태사 #최보성 #임흥 #함주 #고사문 #동여진 #동지중추원사 #조수 #소종명 #사시하 #회경전 #백고좌도량 #구정 #왕경 #수태보 #상서령 #평로진 #소강한 #흥위위상장군 #왕개 #선정전 #어사대 #우습유 #영주자사 #야율사청 #문하시랑평장사 #김영기
-
문종문종 7년(1053) 계사년문종 7년(1053) 계사년7년 봄 정월 병오일. 흰 기운이 해를 꿰뚫고 꿰뚫고 해는 국왕의 상징으로, 흰 기운이 해를 가린 것이나 해를 뚫었다는 현상은 국왕에게 좋지 않은 징조로 이해되었다. 『위서(魏書)』 권105, 천상지(天象志) 1, 태화(太和) 8년 정월 무인에는 ...#흰 기운 #태백성 #혜성 #고루성좌 #익성좌 #아부한 #왕자 #수운나 #배융교위 #고물 #우황 #우각 #우피 #나육 #비자 #해조 #귀갑 #중호장군 #공복 #은대 #채단 #약물 #우상 #구정 #초제 #건덕전 #보살계 #당서 #천보 #현종 #대청궁 #성조현원황제 #함원전 #이자연 #왕총지 #문하시랑평장사 #김정준 #박성걸 #참지정사 #회화장군 #고도달 #문주 #용주 #홍수 #어사대 #상서공부 #나성 #사인원 #한림원 #서경 #안서도호부 #북숭산 #신광사 #나한재 #도호부 #일식 #대동강 #흥복사 #상장군 #팔관회 #흥국사 #장락전 #상참 #문반 #낭장 #무반 #중흥사 #장군 #정증 #유현 #서경유수사 #호부상서 #왕이보 #생양역 #자비령 #미륵원 #절령 #연덕궁비 #왕휴 #왕훈 #이주자사 #소소
-
문종문종 8년(1054) 갑오년문종 8년(1054) 갑오년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중윤(中尹)인 영손(英孫) 등 18명이 와서 명마를 바쳤다. 2월 계묘일. 왕훈(王勳)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했다. 그 책문은 ...
-
문종문종 9년(1055) 을미년문종 9년(1055) 을미년9년 봄 2월 을사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이다불(尼多弗) 등 27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무신일. 한식(寒食)날을 맞아 송나라 상인 섭덕총(葉德寵) 등 87명은 오빈관(娛賓館) 오빈관 고려시대 개경(開京)의 오정문(午正門) ...#봉국장군 #이다불 #섭덕총 #오빈관 #황증 #영빈관 #황조 #청하관 #고한 #조종관 #우박 #눈 #야율혁 #진의 #광의군절도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중서령 #상주국 #왕휘 #환공 #문공 #진한 #변한 #태사 #정사 #요주자사 #어사대부 #부사 #숭록경 #호군 #수태사 #이주자사 #소록 #수태부 #왕훈 #백제 #삼한국공 #합문 #도병마사 #압록강 #춘추』 #동경유수 #내원성 #최충 #내사령 #이자연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김정준 #내사시랑평장사 #박성걸 #김원정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태자소보 #강경준 #지맹 #수사공 #구승 #형부상서 #김소보 #호부상서 #황보연 #공부상서 #야시로 #중추원 #상서이부 #검교장작소감 #유공의 #대광 #유금필 #숙주방어사 #문하성 #목민관 #흥종 #홍려소경 #장사복 #고애사 #예빈성 #도강 #황흔 #황포안 #황세안 #월나라 #지중추원사 #최유선 #공부시랑 #이득로 #거란 #생신회사사 #호부시랑 #최종필 #예부 #종진 #달마 #무제 #태조 #동지 #검교위위소경 #최성절 #검교공부상서 #야율도 #동경회례사 #금주자사 #야율장정
-
문종문종 10년(1056) 병신년문종 10년(1056) 병신년10년 봄 정월 신미일. 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에 운석(隕石)이 떨어졌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갑술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아가주(阿加主) 등 50명이 와서 준마 32필을 바쳤다. 2월 ...#황주 #봉국장군 #아가주 #염가칭 #군기승 #염위 #삼한공신 #사도 #염형명 #환위공자군 #봉성현 #청녕 #덕수현 #흥왕사 #탐라국 #왕증 #국원후 #시중 #이자연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좌복야 #지맹 #수사공 #상서우복야 #고열 #건덕전 #이간방 #동로마병이사 #시어사 #김단 #정전 #서경유수 #비서각 #한서 #진서 #당서 #논어 #효경 #목사 #자사 #통판 #현령 #위 #장리 #목민관 #형부원외랑 #이유적 #충주 #경주 #상주 #삼도무문사 #어사잡단 #병부낭중 #김약진 #예부낭중 #최상 #진주 #나주 #전주 #청주 #광주 #공주 #홍주 #칠도무문사 #감찰어사 #시전중내급사 #안민보 #민창수 #동도무문사 #수춘궁 #태일성 #초제 #동지루 #최응 #이서 #왕충 #정상위권예 #등원 #조신 #뇌충 #금주 #태묘 #협제 #재궁 #신봉루 #황증 #내제석원 #해린 #왕사 #팔관회 #법왕사 #야사로 #영주자사 #소유신 #유원장군 #사복하 #삭주 #서강 #병악 #장원정
-
문종문종 11년(1057) 정유년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고유 #우습유 #중서성 #탐라 #간성 #황주 #건덕전 #소재도량 #소계종 #왕수졸 #천덕군 #절도사 #좌천우위 #대장군 #책봉사 #부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중서령 #상주국 #계림 #주몽 #환공 #문공 #정승 #정사 #부절 #상서령 #사보 #삼공 #소소 #시덕자 #이주관내 관찰사 #사농경 #왕훈 #수사농경 #순의군절도사 #삭무등주 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위 #동 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삼한국공 #이부 #시중 #최숙 #최무 #호부영사동정 #이유충 #동지중추원사 #임종일 #상서좌복야 #왕무숭 #어사대부 #김원황 #공부상서 #불일사 #거란 #궁구문 #우정 #송령 #승단배위관 #상참 #향직 #동정직 #장고 #산사 #서수 #근장군두 #이준 #수춘궁 #예부 #광주 #송악 #박연 #회화장군 #고도달 #흥성궁비 #검교공부상서 #야율가행 #동경지례회사사 #유원장군 #요어내 #장완 #태사국감후 #구정 #선정전 #섭덕총 #비서성교감 #경정상 #권지직한림원사 #시경 #곽만 #서경 #이자연 #평장사 #왕총지 #개경 #왕이보 #최원준 #팔관회 #장경사 #횡선사 #태주자사 #야율굉 #김정준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우간의대부 #왕종량 #상서호부시랑 #안민보 #태황태후 #상서공부시랑 #최계유 #지맹 #궤장 #김원정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김현 #참지정사 #한공서 #상서우복야 #어사대
-
문종문종 12년(1058) 무술년문종 12년(1058) 무술년12년 봄 2월 신해일. 도병마사(都兵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관할지역에서 바치는 철을 이제까지는 병기 제조에 충당해왔으나 근래에 흥왕사(興王寺)를 짓는다고 또 더 바치라고 하니 백성들이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있습니다....#도병마사 #흥왕사 #염주 #해주 #안주 #당사 #내사사인 #지동궁시독사 #최상 #왕종량 #금교역 #진경중 #환공 #검교상서우복야 #소희 #태황태후 #유원장군 #다로 #귀덕장군 #상곤 #봉은사 #해린 #국사 #난원 #왕사 #좌령군위 #상장군 #소간 #중서문하성 #태사감후 #이신황 #정조 #분대 #건덕전 #보살계 #경창원 #전시 #개경 #서경 #장리 #황문경 #탐라 #영암군 #송나라 #내사문하성 #거란 #여진 #동경유수 #충주목 #황제팔십일난경 #천옥집 #상한론 #본초괄요 #소아소씨병원 #소아약증병원 #일십팔론 #장중경오장론 #동경회례사 #검교좌산기상시 #야율연녕 #대장경 #연주자사 #곽재귀 #회화장군 #이동화 #영새장군 #고도달 #일식
-
문종문종 13년(1059) 기해년문종 13년(1059) 기해년13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왕이 건덕전(乾德殿)에서 신년하례를 받은 후, 종친들과 재상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평장사(平章事)로 은퇴한 김정준(金廷俊)을 참석시켰으며, 밤이 늦어서야 잔치를 마치고 참석자들에게 각각 궁중에서 기르는 말 한 ...#건덕전 #평장사 #김정준 #정위 #몰어금 #중윤 #야시로 #정보 #오사 #안서도호부사 #도관원외랑 #이선정 #주후방 #의옥집 #천옥집 #지경산부사 #전중내급사 #이성미 #수서 #고주사 #상서공부원외랑 #최석진 #영새장군 #거다불 #양신린 #기거주 #이유적 #감찰어사 #이병양 #방현 #태묘 #체제 #소송명 #지남원부사 #시예부원외랑 #이정공 #비서각 #현릉 #능실시위 #대장군 #은정 #한씨 #소한씨 #위씨 #천주 #황문경 #소종명 #강조동 #공부상서 #홍해 #상장군 #하흥휴 #합문 #구정 #부남 #동경회사사 #검교우산기상시 #야율연녕 #다우이 #남우릉 #팔관회 #법왕사 #귀덕장군 #모하 #고사 #일식 #검교사도 #야율덕
-
문종 4년(1050) 경인년4년 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동북면도병마사(東北面都兵馬使) 박성걸(朴成傑)이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작년 10월 해적들이 진명포(鎭溟浦)(지금의 강원도 원산시 동남쪽 해안) 진명포 지금의 함경남도 원산시 남동...
-
문종 5년(1051) 신묘년5년 봄 정월 초하루 계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계해일. 왕이 진관사(眞觀寺) 진관사 목종 2년(999) 7월 개경(開京)의 용수산(龍首山)에 창건하여 국왕의 모후인 헌애왕태후(獻哀王太后) 황보씨(皇甫氏)의 원찰로 삼은 화엄종(華...
-
문종 6년(1052) 임진년6년 봄 정월 초하루 무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갑인일. 최유선(崔惟善)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임명했다. 병진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포가주(包加主) 등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병인일. 동여진의 정...
-
문종 7년(1053) 계사년7년 봄 정월 병오일. 흰 기운이 해를 꿰뚫고 꿰뚫고 해는 국왕의 상징으로, 흰 기운이 해를 가린 것이나 해를 뚫었다는 현상은 국왕에게 좋지 않은 징조로 이해되었다. 『위서(魏書)』 권105, 천상지(天象志) 1, 태화(太和) 8년 정월 무인에는 ...
-
문종 8년(1054) 갑오년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중윤(中尹)인 영손(英孫) 등 18명이 와서 명마를 바쳤다. 2월 계묘일. 왕훈(王勳)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했다. 그 책문은 ...
-
문종 9년(1055) 을미년9년 봄 2월 을사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이다불(尼多弗) 등 27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무신일. 한식(寒食)날을 맞아 송나라 상인 섭덕총(葉德寵) 등 87명은 오빈관(娛賓館) 오빈관 고려시대 개경(開京)의 오정문(午正門) ...
-
문종 10년(1056) 병신년10년 봄 정월 신미일. 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에 운석(隕石)이 떨어졌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갑술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아가주(阿加主) 등 50명이 와서 준마 32필을 바쳤다. 2월 ...
-
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
-
문종 12년(1058) 무술년12년 봄 2월 신해일. 도병마사(都兵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관할지역에서 바치는 철을 이제까지는 병기 제조에 충당해왔으나 근래에 흥왕사(興王寺)를 짓는다고 또 더 바치라고 하니 백성들이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있습니다....
-
문종 13년(1059) 기해년13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왕이 건덕전(乾德殿)에서 신년하례를 받은 후, 종친들과 재상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평장사(平章事)로 은퇴한 김정준(金廷俊)을 참석시켰으며, 밤이 늦어서야 잔치를 마치고 참석자들에게 각각 궁중에서 기르는 말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