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종 14년(1060) 경자년
14년 봄 정월
초하루 신묘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계축일. 문덕전(文德殿)에서 이레 동안 천제석도량(天帝釋道場) 천제석도량 제석천도량(帝釋天道場)․제석도량(帝釋道場)이라고도 하며, 천재지변의 극복이나 외적격퇴를 기원하면서 제석천(帝...
-
문종 15년(1061) 신축년
15년 봄 정월
무자일. 태백성(太白星)이 낮에도 관측되었다.
계축일. 이유충(異惟忠)을 형부상서(刑部尙書)로, 김화숭(金化崇) 김화숭(?~?) 현종 때 과거에 급제한 이후 문종 때까지 어사잡단(御史雜端)․서경관내서도선무사(西京關內西道宣撫使...
-
문종 16년(1062) 임인년
16년 봄 정월
임술일. 거란에서 동경회례사(回禮使)로 검교상서우복야(檢校尙書右僕射) 야율장(耶律章)을 보내왔다.
○ 김원정(金元鼎)을 파직시켜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로 내보냈다.
2월
기해일. 왕자 왕도(王燾)(...
-
문종 17년(1063) 계묘년
17년 봄 정월
초하루 계묘일. 여러 신하들을 위하여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열고 관등에 따라 차등을 두어 비단을 내려주었다.
무신일. 삼사(三司)에서, 익령현(翼嶺縣)(지금의 강원도 양양군)과 서북면(西北面)의 성주(成州)(지금의 평안...
-
문종 18년(1064) 갑진년
18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신유일. 서북로병마사(西北路兵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지난 임인(壬寅)년(문종 16, 1062)에 몽포촌(蒙浦村)의 적들이 우리 영토를 침략하려고 평로진(...
-
문종 19년(1065) 을사년
19년 봄 정월
초하루 신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갑신일. 동여진 사람 이지달(尼之達) 등 16명이 와서 준마를 바쳤다.
2월
초하루 신묘일. 동여진의 수령인 상곤(霜昆) 등 22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
문종 20년(1066) 병오년
20년 봄 정월
초하루 병진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해일. 왕이, 올해부터 3년 동안 전국적으로 가축의 도살을 금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기묘일. 김양검(金良儉) 김양검(?~?) 경주 김씨(慶州金氏)로, 문종 때 대경(大卿)...
-
문종 21년(1067) 정미년
21년 봄 정월
초하루 경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경신일. 총 건평 2천 8백 칸으로 이루어진 흥왕사(興王寺)가 12년만에 완공되었다. 왕이 완공을 기념하는 재를 올리려 하자 각 지방으로부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승려들이 모여들었다...
-
문종 22년(1068) 무신년
22년 봄 정월
초하루 갑술일. 일식이 발생했다.
정축일. 동여진의 귀덕장군(歸德將軍)인 상곤(霜鯀) 등이 입조해왔다.
계사일. 왕이 흥왕사(興王寺)에 행차하여 경성회(慶成會) 경성회 사원이나 불교 전각을 완성한 다음 열던 경찬 불교...
-
문종 23년(1069) 기유년
23년 봄 정월
무자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인 사어하(沙於賀)가 입조해왔다.
2월
무오일. 태복경(太僕卿) 하주려(河周呂)를 지동북면춘하번병마사(知東北面春夏番兵馬事)로, 대부소경(大府少卿) 박양단(朴陽旦) 박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