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례2018서예학연구고운 최치원(857-?)은 신라 말기 학자로 경주 최씨의 시조로 받들어진다. 그의 사상과 종교적 성향으로 볼 때 유자이면서도, 불교 및 도교사상을 깊이 체득하고 융화한 인물이었다. 다양한 사상을 추구한 최치원은 儒·佛·道 합일이란 차원에서의 ‘風流’를 말하...
-
김천학2017불교학 리뷰본고는 에도시대 이후 저자의 진위 문제가 제기되었던 법장의 <<大乘起信論義記別記>>를 새로운 관점에서 논증하고자 작성되었다. <<別記>>는 904년에 지은 최치원의 <<법장화상전>>에 처음 보이며, 일본 목록에서는914년의 <<圓超錄>>에 처음 보인다. 한편 <<別記>>는 均如(923-973)의 <<釋華嚴敎分記圓通鈔>>에서 처음으로 문헌명으...<釋華嚴敎分記圓通鈔><別記><圓超錄><법장화상전><別記><大乘起信論義記別記>
-
김미숙2017통합인문학연구최치원은 역사적 인물이지만, 설화 상의 인물로도 민중의 의식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역사와 설화에서 모두 활약을 하는 인물이지만, 역사 속에서의 행위는 현실의 시공간에서 벌어지는 실제적 상황이고, 설화 속에서 벌어지는 그의 행위는 상상의 시공...
-
민영현2016선도문화반만년 한민족문화와 한민족사에 있어 그 뿌리 되는 생각과 의식이 없을 수 없다. 곧, 한국 자생의 전통과 고유철학의 존재가 그것이다. 대개 집단 속에서 무의식적 정신 에너지로 자리해 온 것을 ‘사고의 原本’, 즉 정신의 ‘Arche-type(原型)’이라 하...
-
김승환2016한국문화연구885년 최치원이 서유(西遊)를 마치고 귀국할 때, 친구 고운(顧雲)이 썼다는 송별시 <유선가(儒仙歌)>가 『삼국사기』, 『백운소설』, 『전당시보편(全唐詩補篇)』에 실려 있다. <유선가>와 귀향을 신선의 유람으로 묘사한 오율 <범해(泛海)>와 귀향의 결과를 자긍심으로 표현한 <자서(自敍)>는 귀향모티브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 세 귀향모티브 텍스트는 ‘귀향하는 최치원’이라는 제재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의 관계를 형성한다. 그런데 <유선가>가 중국에 전하지 않기 때문에 고운이 쓴 것인지 고증하기 어렵고 <자서>역시 최치원의 글이므로 과장된 표현의 여지를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볼 때 ‘귀향하는 최치원’ 모티브이지만 위작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는 <유선가>의 작가는 당의 ...유선가(儒仙歌)>가>
-
전상모2016儒學硏究본고는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 내재된 고운 풍류사상(風流思想)의 주체성 과 고유성을 검토하고, 고운의 풍류 사상이 그의 서예미학에 어떻게 발현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신라에 풍류라는 현묘지도(玄妙之道)가 있는데, 그 핵심은 삼 ...
-
신운용2013선도문화이 글의 목적은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이 어디인지, 「난랑비서」의 접화군생이 어떤 의미인지를 진흥왕 37년조의 화랑에 대한 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아울러 난랑은 어떠한 인물인지를 경문왕과 효종랑을 예로 들어 밝히려고 한다. 최치원의 사상은 주...
-
이황진2012한국민족문화对于崔致远的在唐事迹, 中韩两国都进行了较为活跃的研究。但是在一些问题上-特别是崔致远浪迹东都的原因和时间, 赴任栗水县尉的时间, 卸任栗水县尉的时间, 是否为期满卸任, 入高骈幕府的时间等, 论者们得出的结论多种多样, 看法上存在着不小的差异。为此, 笔者以中韩两国的见解为基础, 对...
-
김길령2012차문화ㆍ산업학본 논문은 신라시대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문헌을 통하여 차인을 조명하고 신라시대 차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차문화의 역사적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올바른 차문화 정립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라시대는 유학이 발달하...
-
최치원2011기억과 전망본 연구는 한국 민주화운동의 이념사, 즉 한국 민주주의와 관련된 사회운동을 이론적 철학적으로 뒷받침해 주었던 각종 자료와 연구서 등 출간물의 휴머니즘적 사유의 전개사에 담겨 있는 사회정의의 의미를 탐구한다. 휴머니즘적 사유로서 민주화운동의 이념사는 총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