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민2011동아시아 문화연구이 논문은 1763년 일본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갔던 이언진(1740-1766)이 일본 문사들과 나눈 필담을 분석한 것이다. 특별히 명대의 문인인 왕세정과 관련된 문답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1763년 통신사로 일본에 가기 전 이언진의 위상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하지만 그곳에서 지은 시와 일본 문사와의 필담을 통해 통신사 일행 중 그의 위상은 뒤로 갈수록 돋보이게 되었다. 일본 문사들은 이...
-
김성진2011동아시아 문화연구본 논문은 『萍遇錄』을 중심으로 大典禪師竺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萍遇錄』을 남긴 大典禪師竺常은 일본의 불교계를 대표하는 五山의 하나인 相國寺주지를 거쳤음을 뿐 아니라, 한일양국의 외교를 전담하는 역할을 맡은 朝鮮修門職과 對馬島以酊庵의 輪番僧을 역임하고, 계미사행 이후의 한일관계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 禪僧이요, 詩僧이다. 본고에서 大典禪師竺常에 대해 초점을 맞춘 것은 이 때문이다. 계미사행단...
-
구지현2006열상고전연구이언진은 24세 때 한학통사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이때 일본 문사들 사이에 명성을 떨치게 되었고, 귀국 후 국내 문단에 그의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은 계미사행 당시 이언진과 일본 문사 사이의 교류를 추적하여, 일본 문사들이 이언진에 대해 가졌던 환상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은 사상적인 면에서 주자학을 묵수하는 경직된 태도를 가진 반면, 일본은 藤原惺窩가 유학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