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수진2017본 연구는 고려시대 지배층이 지향하였던 관인상을 밝히기 위하여 관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사회적 가치로 활용되었던 能文・能吏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能文能吏’를 무신집권기 혹은 고려후기의 정치세력이나 그러한 정치세력의 始原으로 이해하였다. 하지만 能文・能吏는 고려 全 시기에 걸쳐 발견되며 정치세력이 아니라 지배층의 이상적인 관인상이자 인사기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
고대혁2011한국초등교육유학사상에서 교사의 지위에 대한 규범적 설명 방식과 스승의 조건 및 이들의 현대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심이다. “불소지신(不召之臣)”과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정신은 전통사회에서 스승의 규범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최고 권력자가 마음대로 자신의 스승을 신하로 대하지 못하는 불소지신의 정신은 오늘날 교육의 자율성과 교육의 정치 중립성 확보를 위한 논거가 된다.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