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응천2019강좌미술사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퇴장 유구와 유물은 그 원인과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고대로부터 그 전통이 이어져 왔으며 통일신라로부터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지니며 계승되어 온 또 하나의 불교적 소산물이다. 조선시대 초기에 건립된 도봉서원 5 호 건물지 아래에서 발견된 일괄 출토품 역시 원래 고려시대 영국사라는 사찰의 중심 건축물을 그대로 활용한 건물지에서 발견된...
-
이미휘1989淨甁은 梵語로 Kendi 또는 Kundi의 파생어인 Kundika로서 「軍持」의 譯語이며, 甁 또는 조병라고 譯한다. 淨甁이란 淨한 물을 담는 水甁으로서 본래는 승려의 필수품이던 것이 차츰 佛前에 바치는 공양구로서 그 용도의 幅이 넓혀졌다. 淨甁의 용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는데, 하나는 불상이 소지하는 甁이고 다른 하나는 淨한 물을 담는 水甁의 용도이다. 그유래를 살펴보면 AD 2∼3세기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