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대승2021한일관계사연구이 글은 위당 정인보가 『조선고전해제』, 『양명학연론』 등에서 강조한 실심, 본심, 감통에 대한 논의를 중심 주제로 삼아,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정인보의 본심감통론이 지닌 시대적 의미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에 다카하시 도루(高橋亨)로 대표되는 일제 관학은 조선 유학이 고착성, 종속성, 정체성 등을 지닌다고 보고 이를 조선 망국의 원인으로 치부하였다. 정...
-
장문석2013한국문학연구이 글은 댄디와 양반이라는 열쇠말로 여천 이원조를 분석하면서, 아울러 기초적인 사실들을 통해 식민지 시기 그의 삶을 재구성하였다. 이원조는 일본 유학과 불문학 지식에 기반한 댄디로서 서구적 근대성에 깊이 공명하면서, 『조선일보』 학예면을 운영하며 문화횡단적인 조선의 근대문화를 기획하고 실천하고자 하였다. 다른 한 편, 이원조는 퇴계 이황의 후손이자 양반으로서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 양반 출신 지...
-
김영2012인문과학연구이 논문은 창동역 개통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본 심포지움에서, 1940년부터 1945년까지 5년간 도봉지역(당시 양주군 창동)에 살았던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삶과 처신, 그의 사승·교우관계, 학문적 지향과 문학관을 재조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발제자는 이러한 선학의 지적을 유념하면서, 일본제국주의 침략 상황 속에서 우리의 얼과 고유의 민족문화를 지키고자...
-
최재목2010다산학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
-
장병한2009陽明學우리나라 19세기 초ㆍ중반에 살았던 白雲 沈大允(1806?1872)은 평생 在野에 머물면서 經學과 歷史 공부에 전념하여 다량의 관련 저술을 남기고 있다. 백운의 학적 연원은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에 시초하여, 중국 청대 18세기 晥派의 巨匠으로서 반성리학자인 대진의 사상에 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백운보다 한 세대 앞서 살아간 茶山 丁若鏞(1762?1836)의 학적 체계와도 일련의 관계를 가지고 있...
-
정출헌2008열상고전연구國學派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민족문화에 대한 자각과 함께 그 의의를 적극적으로 개진하려던 일군의 인물을 일컫는다. 박은식, 신채호, 최남선, 안자산, 정인보, 문일평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우리의 지난 역사에서 민족 고유의 정신을 찾으려 노력하였고, 그것은 흔히 ‘조선심’, ‘조선얼’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그들에 대해서는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맞섰다는 긍정적 평가와...
-
김영2008민족문학사연구이 글은 그 동안 역사가로 알려진 위당 정인보(1893~1950)를 문인으로 재평가하기 위해 쓰여진 작가론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그의 글을 모아놓은 『담원정인보전집』과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위당의 생애와 국학자로서의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그래서 위당이 유학적 교양을 쌓을 수 있는 가문과 이건방을 비롯한 훌륭한 학자들의 가르침을 받아 실심실학의 사상과 국학을 형성하여 『양명학연론』을 비롯한...
-
장병한2007陽明學霞谷 鄭齊斗(1649-1736)와 白雲 沈大允(1806-1872)은 대략 150여년 시대의 간격을 두고 살았지만, 이들은 학연과 혈연으로 인해 소론ㆍ양명학파ㆍ강화학이란 세 가지 연을 함께 하면서 살았다. 특히 19세기 중반 安城에서는 이미 落拓한 少論의 후예들 즉 沈氏, 東萊 鄭氏, 柳氏, 李氏 등이 하곡의 강화학파의 정신세계에 기초하면서 백운을 중심으로 하여 근대 마지막 강화학파의 맥을 이어 가...
-
최지연1988이 硏究는 民族主義史學者인 爲堂 鄭寅普의 歷史認識을 통하여 1930年代 民族主義史學의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하고, 당시의 植民地 상황에서 歷史學이 어떻게 현실에 대응하였는가 하는 측면도 살펴보았다. 또한 鄭寅普의 古代史硏究의 內容을 分析하여 평가하였다. 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