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경2020지역과 역사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결송 입안에 나타난 상언 처리 절차와 상언 처리에서의 지방관과 중앙 관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상언 중 중앙의 담당 관사에서 지방관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사안은 왕의 윤허를 거쳐 지방관에 移文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지방 수령의 조사와 판단, 관찰사의 검토와 판단, 중앙의 담당 관사의 검토와 판단의 3단계에 걸친 조사, 검토, 판단이 이루어졌으며, 마지막으로...
-
손계영2013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이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목판본 문집 간행의 문화적 양상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 초기 조정에서는 명현의 글을 보존하기 위해 문집 간행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부각되었으며,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문집 간행을 주도하였다. 16세기부터 18세기 초반에는 감사ㆍ수령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되어 그들의 주도에 의해 지방관아에서 문집이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1...
-
손계영2009嶺南學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지방관이 공적 지위에서 자신의 선조 문집을 간행하거나 인맥을 통해 부탁받은 이의 선조 문집을 간행하는 관행에 주목하여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문집 간행이 조선초기 중앙에서 이루어졌던 배경과 중앙에서 지방으로 확산되었던 과정을 살펴보았다. (Ⅱ)장 둘째, 후손들이 선조 문집 간행을 위해 지방관에 제수되기를 학수 고대하였던 현상을 포착하고 그 이유를 관찰하였다. ...
-
박수정2008
-
이원균1987In the period of the Choseon Dynasty provincial supervisors were given a fixed term office prescribed by a code of laws. When we look into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