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현수2019탐라는 곽지리식토기에 뒤이어 나타나는 고내리식토기가 확인되는 것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를 구분한다. 그동안 탐라후기 편년은 자체기록의 전무, 빈약한 고고학자료의 문제로 외부유물 편년에 의존해왔으나, 2013년부터 탐라후기의 자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
엄기표2017탐라문화제주지역은 오래전부터 육지를 비롯하여 외국과의 교류가 있었음이 기록이나 유적, 유물 등을 통하여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에도 고대에 불교가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사실을 입증해주는 결정적인 자료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성행하면서 제주지역도 불교 신앙이 확대되었으며, 여러 곳에 사찰이 창건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제주도가 중요한 지역으로 부각되면서 여러 ...
-
윤은숙2016탐라문화惠宗토곤 테무르 카안이 탐라에 조성한 궁전을 紅巾賊이나 농민반란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도피를 목적으로 한 ‘피난궁전’으로 규정하는 학계의 주장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홍건적은 토곤 테무르가 궁전 조성을 계획했던 1367년 2월 이전에 이미 元軍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