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승화2019본고에서는 박지원과 루쉰의 대표적인 단편소설 <양반전>과 <아큐정전>의 풍자에 대한 비교하고 다룰 생각이다. 주로 적자의 풍자 태도, 작품의 풍자성, 풍자의 기법과 기술 등에 중심으로 비교를 통해 다룰 생각이다. 본고의 비교를 통하여 한·중 문화교류에서 뿐만 아니라 풍자소설 이론의 발전과 완비하는 과정을 탐구하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중·한 비교문...
-
홍민표2017외국학연구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bout how to be called from the acquaintance in the 4th to 50 middle-aged group livi...
-
한정민2015문학지식은 문학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문학지식을 함양하는 일은 문학능력을 신장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으며, 문학지식의 함양 여부를 평가하면 곧 문학능력의 신장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문학교육의 목적은 문학능력 신장에 있고 문학교육 평가는 문학능력의 신장 결과를 파악하는 것임을 감안하면, 문학지식의 함양 여부를 평가하는 일은 문학교육 평가의 한 국면이 되기에 적절하다. 본 연구는 텍스트...
-
우인혜2015한국어 교육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peech proverbs of Korea and Japan to prepare a plan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
-
Bae, Chin Soo2014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tilizing the Korean Culture Symbols: Focusing on Territorial and Historical Symbols The pu...
-
김혜은2014시조는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하여 오랜 전통과 민족성을 가지고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우리 문학사상 고산 윤선도의 시조는 대표적인 시가 문학 작품으로 알려져 있고, 윤선도 시조에 대한 연구 또한 국문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의 주 관심 대상이 되었다. 그의 시조는 입신, 배척과 유배, 긴 은거가 반복되는 삶을 통해 이해되고 연구되었다. 연시조는 제목이 분명하고, 작자가 사대부층이며, 하나...
-
정혜란2014문학교육에 있어서 고전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되고 있다. 특히 해방 이후부터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는 수많은 고전 제재들이 다양하게 실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춘향전〉은 제1차부터 제7차까지 끊임없이 다루고 있다. 정전의 영역에 오른 〈춘향전〉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교과서를 통해 〈춘향전〉이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
-
리쩐쩐2014지금까지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지도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고전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학습 효율성에 있어서도 매우 의미가 있다. 그 중 고전소설은 한국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언어 숙달도도 높일 수 있어 언어 교육 지도에도 매우 유용하다. 이렇게 문화와 언어 두 방면에서 교육적 효과가 매우 높다. 그리고 고전소설 속에는 한국의 문화...
-
양진수2013본 연구는 이별 시조에 나타난 시적 화자와 자연물의 관계 유형과 그 형상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별 시조 감상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이는 고전시가 교육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서정갈래의 본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세계에 대한 사유와 문학적 상상력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고찰해본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고전문학은 언어적 해석의 문제, 현대와 다른 사...
-
강미숙2013국문초록 고전 문학 교육은 문학의 위기라는 상황을 타개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학습자는 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한 교과서나 교재를 통해 작품을 보다 폭넓고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가인 〈제망매가〉를 중심으로 상호텍스트성을 실현하는 교재 개발의 원리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접근을 취하였다. 첫째, 바흐친과 크리스테바의 문학론을 비롯한 선행 연구를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