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吳台錫2020中國文學This paper is the third article of the project named "Expression of Transcendental space-time in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s and Arts". The f…
-
Jang Kun Soo2018日本學報이 연구에서는 추측을 나타내는 한국어와 일본어 부사를 대상으로 문말의 어떠한 표현과 공기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 한 부사는 일본어의 ‘たぶん’, ‘どうやら’, ‘もしかすると’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아마(도)’, ‘아무래도’, ‘어쩌면’이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한일 부사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어의 부사는 ‘ダロウ’가 나타내는 …
-
김경은2016본 연구는 이광수의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 기제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광수가 근대적인 사상과 제도에 대해 품었던 가능성과 기대가 시간이 지나갈수록 변형되었고 불안의 기제가 되었다. 이광수가 서사에 남긴 불안의 기제를 분석하는 작업이 유의미한 까닭은 조선의 근대와 계몽을 구축했던 주체들의 불안을 이해하고, 그들의 불안이 근대적인 것을 수용하고 추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불가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