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연복2022무형유산의기 논개를 위한 제사인 의암별제는 조선 고종 때 만들어진 유교 절차에 따른 제례로서 형식상 여러 의미를 지닌다. 남성 중심의 사회인 조선 시대의 제례 중 유일하게 제례의 대상과 제관이 모두 여성인 점이 가장 특징적이다. 특히 지방 제례로서는 유일하게 악·가·무 모두를 갖추고 있고, 악현도 당상악과 당하악으로 구분하여 제례악의 관점으로 보면 중사 수준에 상당하여 매우 격식이 높다 할 수 있다. 또한 …
-
임영선2019국악원논문집In this paper, I intend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 that understands Gyobang (敎坊) in the Goryeo period only about performing Daegok (大曲) by…
-
송정은2013한국무용연구본 논문은 한국 전통 궁중정재를 바탕으로 하여 각 지방에 유입되어 자리 잡은 지방정재의 각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를 확장시키고 분석하는 것은 물론 궁중정재인 헌선도가 지방으로 유입되며 작품의 명칭 뿐 아니라 움직임의 구도, 반주음악, 무원의 구성, 복식, 무구 …
-
이애현2012대한무용학회논문집이 논문은 교방정재 포구락(抛毬樂)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록을 통하여 당시 교방정재 포구락의 공연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포구락은 여타 정재보다 가무악희의 요소가 골고루 내재되어있어 연행자와 관람자 모두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 그만큼 궁중에서 인기 레퍼토리로 자주 공연되었다. 또한 포구락은 궁중뿐 아니라 지역 교방에서도 공연되어졌는데 이는 조선시대 양반들의 문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