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태2017본 연구에서는 전통지리사상을 고찰하고 이들 사상이 지방 소도시인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규명하였다. 읍성은 지방행정단위의 지역적 경계부에 축조한 것이며, 성내에 공공기관인 관아시설과 민가가 함께 수용되었고, 배후지나 주변지역…
-
한아선2014「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역사문화환경’이란 문화재 주변의 자연경관 또는 역사적· 학술적· 문화적으로 가치가 뛰어난 공간으로, 문화재와 함께 보호할 필요성이 있는 주변환경을 일컫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화재의 주변환경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으로…
-
Kim, Minok2012읍성은 조선시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효율적인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설치되었던 성곽건축물의 유형 중 하나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지방도시는 읍성이 존재했던 읍치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읍성은 다른 전통건축물과 다르게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