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수연2020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he meani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Koreanization" -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
-
유순영2019A Study o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Cultural Factor Analysis of the <Jeokbyeokga>'s Narrative Adaptation This s…
-
김현중2018This paper examines the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which depict various Buddhist deities as a collective group. Paintings representi…
-
김옥란2009동아시아의 古典으로서 한·중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대표적 작품은 三國志演義이다. 三國故事는 역사를 기록하던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紀傳體로는 西晉 陳壽의 三國志와 南朝 裴松之의 삼국지·注가 있고, 編年體로는 北宋 司馬光의 資治通鑒·三國志가 있어 후대 소설의 성…
-
정병헌2005한중인문학연구〈삼국지연의〉는 조선 초기에 유입되어 가히 '삼국지문화'를 형성할 만큼 한국인의 애호를 받았다. 현재도 삼국지는 각종의 매체를 통하여 우리의 일상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조선 후기에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한 판소리는 기존의 판소리에 이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적벽가〉를 추가하였다. 기존의 판소리는 사회적 약자의 고난과, 이를 극복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