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석2010어문논집1910년대의 한국은 아직 근대적 글쓰기가 확립되지 못한 상황이다. 계몽기의 국한문체와 마찬가지로 한문의 역할이 중요했는데, 한문은 식민지 교육 정책에 있어서 동화를 호소할 수 있는 강력한 이념적 매개체인 반면 구체적인 글쓰기 습관에서는 오히려 일본과의 언어적?문화적 동화를 방해하는 효과도 있었다. 한문은 이처럼 한일의 언어, 문화적 상관관계에서 이율배반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다. 이 양상을 탐구하는 …
-
조성산2009한국문화In this study, I have seen various aspects resulted from spoken language problems and have finally tried to disclose how universality of Sino-c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