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양2019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of legitimacy theory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observes how these changes affected th…
-
김남일2019韓國史學史學報The reason why Seo Myeong-eung published the Zizhitongjiangangmu sanbian is related to which books to read the history of the Ming Dynasty in Gye…
-
최봉준2014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교체는 성리학의 수용으로 만들어진 한국 중세사회의 계기적 변화과정이었다.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사상과 문화에서는 유교와 불교, 도교 민간신앙, 그리고 풍수도참 등이 국가에 수렴되어 공존하던 다원적 문화에서 성리학을 중심으로 하는 일원적 문화로 서서히 바뀌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주도하였던 성리학자를 중심으로 성리학적 역사인식과 문명론을 통해 정체성이 성리학화하…
-
김종복2012아시아문화연구개항 이후 조선에서는 자주적 근대국가의 수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자국사를 새롭게 서술한 20종의 역사(교과)서가 간행되었다. 이들은 중화질서로부터의 탈피를 내세웠지만, 기본적으로 정통론을 고수하였고 유년칭원법을 채택하였다는 점에서 성리학적 역사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런데 중세사학의 특징인 정통론은 근대이행기에 강화와 동요의 이중적인 양상을 노출하였다. 즉 자주독립의 차원에서 단기정통론은 그…
-
임병용2007Since Go joseon(古朝鮮) has a very significant meaning in the sense that she had first opened the first chapter of Korean history, recognition ab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