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호식2022건지인문학전북지역 읍성은 정읍 고사부리성, 고창읍성, 남원읍성, 만경읍성, 무장읍성, 부안읍성, 부령읍성, 옥구읍성, 용안읍성, 임피읍성, 전주읍성, 함열읍성, 흥덕읍성 등 모두 13개소이다. 현존하고 있는 전북지역 읍성은 용안읍성이 고려시대 조세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 축조되었고, 나머지 읍성은 조선시대 태종~세종연간에 대부분 축성되었다. 전북지역 읍성의 연구는 그동안 일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읍성에 집중되…
-
김지영2022朝鮮時代史學報This study focused on “local custom and culture[風俗]” chapter of Province Gazetteers[地理志], which newly emerged in Joseon’s pursuit of edification[…
-
송휘영2016영토해양연구본고의 목적은 독도 편입조치 전후의 지리지 특히 당시 일본의 지리학계를 대표하던 『지학잡지』에 나타난 울릉도·독도 기록을 통해 당시 일본의 울릉도·독도 인식을 검토하는 것이다. 『지학잡지』는 1879년에 창립된 도쿄지학협회의 기관지로, 이 협회 회원은 메이지 …
-
정대영2015한국문화Many local gazetteers were made in Chosŏn Korea. Some were created by the government, including Sejongshillok ch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Local gazett…
-
정치영2014역사민속학교량은 지형적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도로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시설인 동시에, 문학과 그림의 소재가 될 정도로 시대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학을 제외한 분야에서는 교량, 특히 옛 교량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거의 없…
-
정치영2014역사민속학교량은 지형적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도로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시설인 동시에, 문학과 그림의 소재가 될 정도로 시대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학을 제외한 분야에서는 교량, 특히 옛 교량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거의 없는 형편이었으며, 그가장 큰 이유로는 옛 교량에 대한 연구 자료의 부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도 교량은 지역의 중요한 기반시설이었기…
-
김현정2012도시인문학연구이 글은 『한경지략』을 통해 동시 서울인식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조선후기 대표적인 서울 지리지인 『한경지략』은 규장각 검서관을 지냈던 유본예의 저서로, 서울에서 태어나 규장각에서 많은 자료를 접할 수 있었던 저자가 자신의 체험과 다양한 정보를 2권의 책에 담…
-
서미림2011충청문화연구The most representative town chronicle which appeared in the mid Chosun era was a record of the town, written by residents who lived in each regi…
-
유미림2011영토해양연구일본에 의한 조선 지리지 편찬은 일본의 팽창정책과 식민지 개척의 일환으로 활발해졌는데 그 가운데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이 에도시대부터 관심을 기울여와 한때 조선과 분쟁을 겪기도 했던 지역이다. 그런데 이들 지역에 관한 일본의 기술이 조선 지리지와 일본 지리지, …
-
강연석2009한국의사학회지우리나라의 지리지는 지리적 정보 이외에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기존 계발된 한의학 정보들은 자료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 중앙정부와 서울지역, 그리고 유력 인물 중심의 정보들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리지를 통해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