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현2021규장각The Album of Landscape, Flowers, and Birds by Yi Jing (李澄, 1581-?)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artworks in Joseon Dynasty that can reveal how...
-
이동현2020This thesis attempts to interpret the attributes as a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illages that this study deals with, starting from the esse...
-
오춘영2020문화재문화재 인식의 출발점이 되는 문화재 ‘선택’에는 당시 지배 권력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다는 가정을 세웠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먼저 대한제국 후기(1901~1910)에는 조선시대부터 가져오던 과거 유적들에 대한 관점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국가 가 중요하게 보호하려 한 대상은 왕릉과 왕실기록물들이었다. 이 시기에 한국 유적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조사가 본격적으 로 ...
-
안호2019지금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이 땅은 수천, 수만년간 수 많은 이들이 터 잡고 살아 온 곳이고, 그들의 흔적들이 남아서 당시 삶의 모습을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이러한 흔적들 중에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그것들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본질적인 모습을이해하는 실마리를 찾고 있다.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발전 과정에서 소홀했던 문화재에 대한 ...
-
송호영2019법학논총In 2012, the Goryeo Buddhist statue, which was located in the temples of Tsushima, Japan, was stolen and was smuggled into Korea. The Korean go...
-
이난경2018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ungnaptoseong fortress(kingdom fortress), which is the core area of Hanseong Baekje period's capital ci...
-
오춘영2018문화재Taiwan and Korea have common memories of colonization by Japan. Therefore, for researchers studying colonial times, the two countries are becom...
-
오춘영2018문화재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s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governance. This process was ...
-
박진이2016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조선에서 실시한 문화재 관련 정책과 이 과정에서 조선의 문화재가 일본으로 반출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제에 의해 조선의 문화재가 피해를 입는 상황에 대해 조선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였는가에 대해서도 파악...
-
모웅서2015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역사왜곡과 독도 영유권 문제, 휴전상태, 남북한 대치 등은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인식에 큰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과 아주 인접한 철원지역에 살면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에 기반 한 유적과 문화재에 전혀 관심도 가지고 있지 않고, 심지어는 잘못된 역사지식과 이해 속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