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정2019If the scriptures are to unfold the contents of the Buddha's words, it is the religion painting that draws the picture visually by compressing ...
-
최배영2015차문화ㆍ산업학본 연구는 조선후기 학자인 윤행임(尹行恁, 1762-1801)이 어머니 한양(漢陽) 조씨(趙氏: 1726-1798)의 상례(喪禮)를 기록한 「무오읍혈록(戊午泣血錄)」의 내용을 토대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함으로써 조선후기 상례문화의 박물관 기획 전시를 구성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무오읍혈록」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한 후 전시의 내용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구성...
-
이광표2014이 논문은 우리나라 근현대기 고미술컬렉션에 관한 연구다. 우리의 고미술컬렉션이 어떻게 대중과 만나게 되고 그 과정을 통해 대중은 무엇을 경험하고 인식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했다. 우선, 고미술컬렉션의 존재의미와 컬렉션을 보는 관점에 대해 고찰했다. 고미술컬렉션의 개념, 컬렉션과 박물관의 관계, 박물관에서 이뤄지는 고미술컬렉션 전시의 의미와 효과, 전시의 철학적· 문화적 의미, 고미...
-
朴美貞2013동아시아 문화연구20세기 초 지구상의 7할 이상의 육지가 식민지로 존재하는 속에서, 구미 열강의 제국에서는 산업혁명과 부국강병을 추진하면서 우편제도와 체신체제를 정착시켰다. 만국 박람회를 선도하면서 식민지와 이국의 산물이나 풍물, 이향(식민지) 사람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만든그림엽서를 대량으로 발행해, 우편제도 속에서 식민지 이미지를 세계의 모든 곳으로 전달했다. 아시아에서는 서구의 문물과 제도를 재빨리 받아...
-
정혜승2013They are eliminating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by making the world as one community, according to complex and diverse lifestyle of moder...
-
오일환201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우리나라에는 몽골의 영향을 받은 역사문화유산과 생활민속이 다양하게 남아있다. 그러나 한·몽 간의 국제문화 이해를 위하여 역사적 시각자료를 활용한 학습방안 및 콘텐츠 구축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오늘날 한·몽 관계의 한계와 현실 속에서 연구가 ...
-
박은성2012박물관은 문화유산을 내용으로 하는 넓은 의미의 교육기관이다. 박물관은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는 전시와 다양한 해석을 통해 쉽고, 재미있는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서의 박물관으로 변해가고 있다. 특히 근래의 박물관 교육은 국공립박물관을 중심으로 직접 찾아가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박물관 교육 영역의 확장 추세 동향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문화유적과 접근성이 용이한 박물관들에서는...
-
박희명20111999)의 지식이론과 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4가지 학습유형을 기준으로 삼았다. 즉, 전통적 강의 및 교재(traditional lecture and text) 학습, 경험주의 학습(behaviourist learning), 발견 학습(discovery learning), 구성주의(constructivism) 학습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학습유형 분석에 의하면 미...
-
안현정2010한국문화연구요시미 순야는 ‘발견=재편’의 과정을 통해 외부세계를 규율·훈련시키는 것이 ‘근대의 시선’이라고 말한다.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 아래서 35년간 식민지를 경험한 20세기 전반(前半)의 조선은 ‘보는 행위’까지도 일본의 타자적 권력에 의해 지배당했다는 점에서 ‘근대의 시선’ 아래 재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라는 거대권력이 만든 박람회·박물관 등은 이들의 구조가 거대전시(이벤트)였다는 점, 그리고 ...
-
국성하2009교육사학연구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는 민속학자로 일제 강점기 때에는 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였고, 해방 후에는 국립민족박물관을 창설한 인물이다. 석남은 특히 1930년대에 신문과 잡지 등에 우려 민속과 관련된 많은 글들을 발표하여, 학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우리 민속에 대 해서 알 수 있게 하였다. 석남은 조선의 민속을 이론적 또는 지역적으로 구분하여 체계화를 시도하였고, 이러한 구분에 따라 그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