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가영2016본고의 목적은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를 고찰함으로써 이덕무가 18세기의 문화적 격변기를 어떻게 수용하여 문학적으로 표출했는지를 살피는 데에 있다.『이목구심서』 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이목구심서』를 종합적인 성격을 띠는 산문집 정도로만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당대 사회적 상황과 이덕무의 개인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목구심서』는 소품집의 성격을 띠는 산문집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정우봉2015어문논집이 논문은 李德懋의청년시절자화상에해당되는 『觀讀日記』에나타난자아상을 집중적으로분석하였다. 이덕무는일기쓰는목적을육체적, 정신적안정과휴식에서 찾았다. 그것은달리말해육체적정신적아픔과갈등을치유하는의미를지니고있었다. 이덕무는일기쓰기를통해서얼이라는신분적정체성속에서겪어야하는고 민과갈등을해소하고, 신체적허약으로부터벗어나고외부환경의변화에흔들리지 않는, 달리 말해 건강한 육체와 굳센 정신의 자아상을 확립하고자 하였...
-
박종천2014民族文化硏究조선 후기 입후설(立後說)의 정립과 종법질서의 확대는 친족의 문화적 정체성 유지와 사회적 위상 확보를 위한 실천적 전략에 따라 정치적 권력, 경제적 기반, 사회문화적 권위의 측면에서 중앙의 유력 경화세족들의 주도적 포용 전략, 지방 명문 재지사족들의 배타적 차별화 전략, 중인 이하 하층민들의 동화적 모방 전략 이 병행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조선 후기 근기 남인 성호학파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반...
-
이정란2003역사는 시간의 흐름이다. 시간은 단속적이지 않고 연속적이다. 연속된 시간속에서 존재하는 인간 역시 연속된 존재이다. 太宗代 庶孼差待法의 제정으로 인해 庶孼階層이 비로소 형성되었다고 하지만, 그 法制를 마련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나듯이 이미 庶孼에 대한 差待的 인식과 관행이 엄연히 존재하여 왔기 때문에 差待法이 큰 무리 없이 제정되고 지속될 수 있었다. 즉 庶孼에 대한 差待法의 제정과 지속은 高麗時代 ...
-
김정현1996이 論支은 17세기를 중심으로 庶孼의 신분적 지위의 변화를 당시 身分職役制 운영과 관련하여 살펴 보려는 것이다. 朝鮮時代 庶孼은 양반의 자손이면서도 양반의 지위에서 도태되어 中人層으로 굳어진 특수한 계층이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봉건적 위기를 맞은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