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윤숙2020설화는 오랜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이야기로서, 민중의 역사적 경험과 세계관이 응축되어 있다. 또한 설화는 민중이 전승해야 할 절실한 이유가 있는 것들이 이야기로 짜여져 전해지는 만큼 민의 공통된 문제의식과 닿아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원한이 쌓인 귀신이 공적 존재인 ‘원님’에게 나타나 해원을 요구하는 이야기들의 특징과 의미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원귀설...
-
이사빈2011무용역사기록학``학춤``으로 널리 알려진 연화대는 정재로서 그 기원이나 의의에 대해 무용학계에서 연구되어왔다. 또한 그 기원은 고려사악지의 기록을 수용하여 탁발위에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년 들어 연화대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이나 역사학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토대로 정재로서 연화대에 대한 변화과정이나 문화적 의미의 해석을 하였다. 고려시대의 연화대는 학이 등장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연화대에서 ...
-
조태영2004한중인문학연구'소견(消遣)' 개념을 가지고 조선시대 소설비평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소견 개념은 조선시대에 소설비평의 중요한 개념으로 쓰였고, 개념의 깊이와 폭이 계속 변화를 거쳤다. 서거정은 골계전을 저술한 목적을 "세상 염려를 풀어 없앤다(消遣世慮)"는 것으로 표명하였다. 그의 골계전에서는 벼슬에서 잠시 물러난 관인이 무료함을 풀고, 예교의 구속으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비교적 가벼운 욕구를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