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영상2011在外韓人硏究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한 재외한인사회 연구의 중요성을 제기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재외한인사회의 역사문화자원을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하자는 것이다. 특히, 독립국가연합 고려인과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자원은 한민족의 전통생활문화에 기초한 것으로, 신한류 콘텐츠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디지털 기반 재외한인기록관의 설립이다. 재외한인사회의 과거와 현...
-
김선희2008대한지리학회지지명은 생활환경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표현이자 시ㆍ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역사, 문화적 산물로서 지역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이해하는 유용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일제시기 대축척 지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별, 지역별 분포와 빈도를 파악하고 이를 전자문화지도로...
-
권순회2003民族文化硏究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