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성철2020탐라문화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onorific system of Hangul letters exchanged by mother-in-law and son-in-law during the Joseon Dyna...
-
신성철2014語文論集이 글은 발신자의 사회적 성격에 따른, 19세기 한글 편지에서 드러나는 표기와 음운 층위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표기 층위는 ‘ㄹㄹ’ 연쇄 표기, 음운 층위는 ‘ㅡ’ 전설모음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ㄹㄴ’, ‘ㄹㄹ’ 유형은 유음화, ‘ㄴㄴ’, ‘ㄴㄹ’ 유형은 비음화와 관련되며, 현대국어와 달리 ‘ㄹ$ㄴ’에는 유음화 규칙, ‘ㄴ$ㄹ’에는 ‘ㄹ’ 비음화가 적용된다. 양반가 언간에서 나타난 ‘...
-
홍학희2010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이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 문화의 지역성(地域性)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된 논문 가운데 하나로, 송준길(宋浚吉, 1606~1672) 집안에 내려오는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은진(恩津) 송씨, 더 나아가 충청 지역 여성의 삶과 문화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편지에 나타난 여성 관련 호칭과 어투를 살펴보면, 송준길 집안에서는 딸들에게도 대부분 한자 이름을 지어주었으며 시집간 딸에게는 `-집’이나 `-실(室...